만회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권득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권득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1권 10책. 목판본. 1712년(숙종 38) 증손 이진(以鎭)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명(詩銘) 36수, 권2에 기·논·제(題)·소(疏) 등 20편, 권3에 지(誌)·행장 등 3편, 권4에 잡저와 서(書) 5편, 권5에 서(書) 15편, 권6에 설(說)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7∼11은 부편(附編)으로, 습유(拾遺)에 기·설·잡록(雜錄), 부록에 행장·묘갈명·지명(誌銘)·만시(挽詩)·제문, 책(策)에 전(殿)·집(執) 등이 있으며, 끝에 발문이 있다.

잡저의 「한사존성숙선론(閑邪存誠孰先論)」은 “사특함을 막는 것과 성실을 지니는 것 중 어느 것이 먼저인가”하는 것에 관하여 논한 것인데, 그것은 선후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이물(二物)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 성리학에 관한 「사단론(四端論)」과 불교에 관한 「윤회론(輪廻論)」 등이 있다.

「규의(睽義)」는 『주역』의 규괘(睽卦)에 관한 논변으로, 전의(傳義)를 중심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혔는데, 그는 여기에서 자의(字義)와 효의(爻義)를 아울러 설명하면서 만물 동이(同異)의 논리를 밝히고 있다.

「여박인지격물논변설(與朴仁之格物論辨說)」은 『대학』에 있는 격물치지(格物致知)에 관한 문답 내용이다. 이것은 당시 이황(李滉)·이이(李珥)·성혼(成渾)·기대승(奇大升)의 성리학 논쟁이 있은 뒤 그가 수립한 이론을 표현한 것이다.

「전책(殿策)」은 그가 좌랑으로 있을 때 왕의 질문에 개진(開陳)한 것으로, 의식(衣食)·예제(禮制)·인재 등용에 관한 견해를 피력한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