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통

목차
관련 정보
벼맷돌 / 매통, 목마
벼맷돌 / 매통, 목마
산업
물품
벼의 껍질을 벗기는 데 쓰는 기구.
이칭
이칭
목마(木磨), 나무매, 매, 통매
목차
정의
벼의 껍질을 벗기는 데 쓰는 기구.
내용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목마(木磨)’로 표기되었는데 지역에 따라서 ‘나무매’(경기도 덕적)·‘매’(충청남도 당진)·‘통매’라고도 불린다.

매통은 크기가 같은 굵은 통나무(한짝의 길이는 70㎝ 내외) 두짝으로 구성된다. 위짝의 윗마구리는 우긋하게 파고 가운데에는 벼를 흘려넣도록 지름 5㎝ 가량의 구멍을 뚫었다. 한편, 아래짝의 기둥이 이 구멍에 들어가서 위아래짝을 안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가 달린 부분의 마구리 위짝은 우묵하게, 밑짝은 봉긋하게 파내었다. 밑짝은 요철이 있게 파서 마찰력을 높힌다. 쉽게 닳기 때문에 자주 파주어야 한다. 위짝의 중간 좌우 양쪽이나 한쪽에 손잡이를 붙여서 좌우로 돌린다.

위짝의 구멍에 벼를 흘려넣으며 위짝을 돌리면 겉껍질이 벗겨져 나온다. 아래짝의 바닥에는 도래방석이나 맷방석을 깔아둔다. 벼 한말의 껍질을 벗기는 데는 10여분이 걸린다. 매통의 무게는 30㎏ 내외, 수명은 20여년이며 보통 100년 이상 자란 소나무로 만든다.

통나무가 귀한 곳에서는 대로 테를 둘러 울을 삼고 이 안에 찰흙을 다져 넣어 매통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를 ‘토매’라고 한다. 역시 위아래 두짝으로 구성되며 형태는 맷돌과 비슷하다.

이로는 대쪽을 깎아서 박으며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위짝 옆에 달린 기둥에 손잡이를 따로 박는다. 이를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노를 젓듯이 앞으로 밀었다가 당기면서 돌린다. 매통보다는 성능이 좋으나 수명이 짧은 것이 결점이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