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학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서봉령의 매학유고 중 권수면
서봉령의 매학유고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서봉령의 시 · 소(疏) · 서(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서봉령의 시 · 소(疏) · 서(書)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영본). 목활자본. 원래 본집 15권과 부록으로 되어 있었으나, 산질되어 현재는 권15 「존문록(尊聞錄)」과 부록만이 전한다. 자세한 간행연도는 알 수 없으나, 권두에 1916년에 쓴 송인학(宋寅學)·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1729년(영조 5)나이빈(羅以彬)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안종학(安鍾鶴)이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목차에 의하면 권1∼4에 시, 권5에 소(疏), 권6∼8에 서(書), 권9·10에 별지(別紙), 권11에 잡저, 권12에 휴암선생입사실기(休庵先生立祠實記), 권13에 불립당사우연원후(不立黨師友淵源後)·잠(箴)·명(銘)·송(頌)·제문·축문, 권14에 상량문·행장·유사, 권15에 존문록과 부록이 수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존문록」은 제자가 스승 안방준에게서 들은 학문 강론을 기록한 것이다. 부록에는 조상우(趙相愚)가 쓴 연보와 종사록(從師錄)·동유록(同遊錄)과 윤증(尹拯)이 쓴 유사, 이의경(李毅敬)이 지은 행장, 윤상익(尹相翊)이 쓴 추장(追狀), 유지빈(柳之彬) 등이 지은 제문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