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포전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육주비전(六注比廛) 가운데 주로 백목(白木 : 면포)의 판매를 취급하던 시전(市廛).
이칭
이칭
백목전, 은목전
목차
정의
조선시대 육주비전(六注比廛) 가운데 주로 백목(白木 : 면포)의 판매를 취급하던 시전(市廛).
내용

주로 백목을 취급하였기 때문에 백목전이라고 하였고, 때로는 목면(木綿)과 은자(銀子)를 겸하여 매매하였기 때문에 은목전(銀木廛)이라고도 하였다.

면포전의 국역부담은 9분이나 되는 큰 부담을 졌던 시전이었다. 조선시대에 의료(衣料) 중 면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 수 있었던 것은 조선 중기 이후에 면화재배가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국민의 태반을 이루는 하층 근로대중의 생필품에 이르지 못하고 지배계급 및 그 아류들의 필수품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포는 근로대중의 생필품화되기까지 그 시장성이 아주 밝은 업종이었다. 면화재배에 적합한 지역은 역시 삼남지방으로, 그 중에서도 나주지방의 백목길쌈이 유명하였고, 그 생산물은 한양의 경시 시전에 집화(集貨)되어 거래되었다.

조선 말기에 편찬된 『육전조례(六典條例)』의 한성부 시전조에는 면포전 대신 백목전이라고 표기되었고, 팔의전(八矣廛)의 하나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만기요람(萬機要覽)』
『청구시장(靑丘示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육전조례(六典條例)』
「서울육의전연구(六矣廛硏究)-이조도시상업(李朝都市商業)의 일고찰(一考察)-」(유교성, 『역사학보(歷史學報)』8, 1955)
「李朝貢納制の硏究」(田川孝三, 『東洋文庫論叢』47, 196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