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산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백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백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9권 4책. 석인본. 1970년 후손 찬종(燦宗)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찬종의 발문이 있다. 충북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89수, 만사 72수, 서(書) 124편, 권4·5에 전(傳) 1편, 잡저 19편, 잠명(箴銘) 5편, 상량문 5편, 축문 5편, 권6에 제문 25편, 서(序) 22편, 기(記) 14편, 발문 4편, 행장 14편, 권7·8에 행록 2편, 묘지명 2편, 묘갈명 17편, 권9 부록에는 저자의 유사·행장·묘지명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에서는 「도산선생한거이십영운(陶山先生閑居二十咏韻)」·「금강가사십운(金剛歌四十韻)」 등의 연시(聯詩)가 대표적이다. 「도산선생한거이십영운」은 강학(講學)·구지(求志)·습서(習書)·음시(吟詩)·애한(愛閑)·양정(養靜)·분향(焚香)·복약(服藥)·탄금(彈琴)·투호(投壺)·상화(賞花)·조어(釣魚)·쇄책(曬冊)·대객(對客)·자궐(煮蕨)·음주(飮酒)·완월(翫月)·납량(納凉)·치포(治圃)·종송(種松) 등 20항목에 걸쳐 도학자의 일상생활을 읊은 것이다. 그의 학문과 생활에 대한 태도를 잘 보여준다. 「금강가사십운」은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서경시로서 대표적인 명시로 칭송되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