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정동식의 모은유고 중 표지
정동식의 모은유고 중 표지
유교
문헌
개항기 때의 무신, 정동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개항기 때의 무신, 정동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5년 아우 창식(昌植)·남식(南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남식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27수, 부(賦) 1편, 권2에 묘표(墓表) 1편, 서(序) 3편, 발(跋) 1편, 기(記) 2편, 상량문 2편, 설(說) 1편, 경의문대(經義問對) 1편, 경잠(警箴) 1편, 제문 7편, 권3에 시 18수, 포고문(布告文)·토역문(討逆文)·게서(揭書)·계자문(戒子文)·계제문(戒弟文)·종유문(宗諭文)·유후문(遺後文) 각 1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표·묘지(墓誌) 각 1편, 제문 18편, 만사(挽詞) 140수, 통문(通文) 3편, 가장(家狀)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 「만면암최선생(輓勉庵崔先生)」은 적지에서 순절한 최익현(崔益鉉)에 대한 만사이고, 「묘정추감(墓庭追感)」은 1910년 상국(喪國)의 소식을 듣고 선친의 산소에서 죽기를 각오한 심경을 읊은 것이다. 「임사유감(臨死有感)」은 1910년 8월 13일 전주 공북루(拱北樓)에서 순절하기 전의 울적한 심경을 토로한 것이다.

제문 중 「제민충정공문(祭閔忠正公文)」은 민영환(閔泳煥)의 제문으로, 국가를 위하여 순절한 의리를 정몽주(鄭夢周)의 절의에 비유, 찬양하였다.

이밖에 「토역문」·「포고문」·「게서」 등에서는 사풍(士風)을 무너뜨리고 국가의 기강을 어지럽히는 역신(逆臣)들의 죄를 성토하면서, 용맹하고 의기 있는 장병을 선발하여 이를 치죄하고 태평시대를 실현하자고 강조하였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