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목활자본. 1840년(헌종 6) 아들 세진(世晉)의 문집과 함께 외손 정상리(鄭象履)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카 세륜(世綸)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409수, 권4에 교서(敎書) 1편, 소(疏) 7편, 권5에 서(書) 13편, 잡저 8편, 서(序) 2편, 기(記) 7편, 여문(儷文) 3편, 권6에 제문 13편, 묘지명 6편, 행장 2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4의 소에는 균역론(均役論)의 폐단을 극론한 「사장령겸논균역서(辭掌令兼論均役書)」와 이인좌(李麟佐)의 난 대비책을 상소한 「무신역변초론사소(戊申逆變初論事疏)」가 있다. 서(書)에는 홍중휘(洪重徽)·권상일(權相一)·이창의(李昌誼)·정우량(鄭羽良) 등과 내왕한 편지 13편이 있다.
여문에는 「대전탄일하전(大殿誕日賀箋)」 등 3편이 실려 있다. 제문은 유헌장(柳憲掌)·심발(沈撥)·정수륜(鄭壽崙)·강해(姜楷)·이주진(李柱震)에 대한 것이며, 행장은 「선비숙부인전주이씨행장(先妣淑夫人全州李氏行狀)」 등 2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