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문답가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이칭
이칭
목동가, 목우가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국한문필사본. 작자는 이황(李滉)으로 추정되기도 하였으나, 임유후(任有後) 측근 인물들의 증언과 문헌의 신빙성으로 보아, 임유후로 추정되기도 한다.

이본의 명칭은 ‘목동가(牧童歌)’·‘목우가(牧牛歌) 등인데, 『순오지』에는 ’목동가‘로 되어 있다. 이본으로 잡가본(雜歌本)·임창순본(任昌淳本)·서강대학본(西江大學本)·이가원본(李家源本)·주종연본(朱鍾演本) 등이 있다.

이본들을 교합(校合)하여 복원한 결과,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4구이다. 음수율은 3·4조 주축에 2·3조, 4·4조가 첨가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제목에서 살필 수 있듯이, 문가(問歌)와 답가(答歌)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전반부인 문가와 후반부인 답가가 대조적인 주제를 부각시킴으로써 하나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한편으로는 현실을 긍정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입신양명의 꿈을 실현해보고 싶은 뜻을 보였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천운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취생몽사(醉生夢死)의 구가(謳歌)와 인생무상의 달관(達觀)을 합리화하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입신양명과 자연귀의라는 현실긍정과 현실부정의 이질적인 양극성의 상충심리(相衝心理)가 균형있게 조화됨으로써 인정의 기미(機微)를 구김없이 잘 표출하였다. 문답가 계열 가사의 한 유형으로서 훌륭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순오지(旬五志)』
『한국고전문학연구(韓國古典文學硏究)』(강전섭, 대왕사, 1982)
「퇴계(退溪)의 시가문학(詩歌文學) 연구(硏究)」(이가원, 『퇴계학연구』, 1972)
「목동문답가(牧童問答歌)에 대(對)한 일고찰(一考察)」(주종연, 『국민대학논문집』, 1972)
「잡가영인해제(雜歌影印解題)」(김동욱, 『국어국문학』 39·40 합병호, 1968)
「임유후(任有後)의 목동가연구(牧童歌硏究)」(이상보, 『명지대학교논문집』 1, 1968)
「목동문답가소고(牧童問答歌小攷)」(김동욱, 『가람이병기박사송수기념논문집』, 1966)
집필자
강전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