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출도 ()

목차
인문지리
지명
일본의 대마도(對馬島)로 추정되는 신라시대의 지명.
목차
정의
일본의 대마도(對馬島)로 추정되는 신라시대의 지명.
내용

『삼국사기』와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74년(탈해왕 18) 왜인이 목출도에 침노하매 왕이 각간(角干) 우오(羽烏)를 보내어 막다가 이기지 못하고 우오는 죽었다.”

이 기록에 나타난 목출도가 섬이라고 할 때, 당시 신라 해안에는 왜인이 침입할만한 섬이 없었다는 점으로 보아 대마도일 수밖에 없다. 특히 가야의 세력이 김해지방에 미쳤다면 거제도는 신라영토일 수가 없다.

『대동여지도』상에 나타난 섬으로는 울산 대화강(大和江) 하류의 명산(鳴山)·죽도(竹島)·동백도(冬柏島) 등이 있으나, 이 섬들은 무인도이거나 주민이 거의 살지 않았으며, 동래(東萊) 앞바다에 오륙도와 몇 개의 섬도 이와 흡사하였다. 이러한 섬에 적이 쳐들어왔을 때 일국의 재상이 대군을 몰고 바다에 나아가 싸우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본인들이 주장하는 임나가라(任那加羅)는 성읍국(城邑國)을 뜻하는 것으로 대마도를 지칭한다. 따라서, 당시 신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던 목출도에 왜인이 침입하자 신라가 거국적으로 출정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출도가 대마도를 지칭하는 것임을 알려주는 자료는 대마도에 있는 많은 한국계 지명에서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대동지지(大東地志)』
『한국고대국명지명연구』(이병선, 형설출판사, 198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