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평대군 이용 집터 ( 집터)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안평대군 이용 집터 전통가옥
서울 안평대군 이용 집터 전통가옥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안평대군 관련 집터.
이칭
이칭
무계정사(武溪精舍), 무계정사지(武溪精舍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안평대군 이용 집터(安平大君 李瑢 집터)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건물지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부암동 319-3, 319-4, 319-5, 319-11, 319-2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전기 안평대군 관련 집터.
개설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평대군이 사용하던 정사 터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다. 2003년 12월 5일에 ‘무계정사(武溪精舍)’에서 ‘무계정사지’로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에서 정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다시 안평대군 이용 집터로 변경되었다.

내용

조선시대 세종의 셋째 왕자인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이 세운 정사로 안평대군이 꿈에 도원(桃園)에서 놀고 나서 그곳과 같은 자리라고 생각되는 곳에 정자를 세우고 글을 읊으며 활을 쏘았다고 전해진다.

유지 앞의 바위에는 한쪽 면을 다듬고 그 윗부분의 가운데 큰 현판 모양으로 장방형 틀을 판 평면에 ‘무계동(武溪洞)’이라고 새겼는데, 이 글씨는 필적으로 보아 안평대군의 글씨로 추정된다.

그는 도성의 북문인 창의문(彰義門) 밖 이곳에 정사를 짓고 1만 권의 장서를 갖추었으며, 또한 용산 강가에는 담담정(淡淡亭)을 지어 이곳 정자들을 오가며 글 잘하는 선비들을 불러 모아 함께 시문을 즐겼다고 한다. 1453년(단종 1) 안평대군이 역모로 몰려서 사약을 받고 죽은 이후 이곳도 폐허가 되고 말았다.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1451년에 안평대군의 부탁으로 이개(李塏 ; 1417~1456)가 지은 「무계정사기(武溪精舍記)」가 전한다. 이를 통해 당시 무계정사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