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보 ()

목차
관련 정보
무보
무보
조선시대사
문헌
무관 출신 집안의 가계를 정리하고 이들의 번성을 비교하여 저술한 족보. 무보.
목차
정의
무관 출신 집안의 가계를 정리하고 이들의 번성을 비교하여 저술한 족보. 무보.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우리 나라에는 문반과 무반을 가리켜서 양반이라 불렀다. 그러나 유학사상의 발효로 고려 말기 이후부터는 무관보다는 문관을 더 추존하고 희구하는 사회 풍조로 바뀌면서 은연중 무반 출신은 문반의 냉대를 받아 왔다.

그래서 세족과 문벌을 자랑하는 조신들도 문과에 급제한 자들을 우대했고, 무과 출신들을 냉대하였다. 이 때문에 문보는 집집마다 거의 있으나 무보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 책은 이러한 뜻을 잘 아는 사람의 소행인지는 몰라도 문관 아닌 무반 출신들을 모아서 그 자손의 성쇠를 병기해 인맥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려는 데 목적을 둔 것 같다. 수많은 성씨 가운데 무보에 올라 있는 성씨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처음 시도는 하였으나 끝을 마치지 못한 것 같다.

책에 등재된 성씨로는 전주 이씨(全州李氏)를 필두로 이씨가 26본에 1,200인, 안동 김씨(安東金氏)를 비롯한 김씨가 12본에 320인, 동래 정씨(東萊鄭氏)를 비롯한 정씨 8본에 210인, 평산 신씨(平山申氏) 175인, 능주 구씨(綾州具氏) 113인, 인동 장씨(仁同張氏) 57인, 청주 곽씨(淸州郭氏) 1인 등 약 2,100여인의 인사의 출신내력·최종관직·자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처음 무과에 급제한 사람을 난의 상단으로 올리고 그 밑에 자질들을 기록해 가계를 표시하였다. 무관 출신자는 이름자에 공표로 표시하고 문관 출신은 공표를 하나, 무관은 둘, 벼슬이 없는 자는 공표를 하지 않았다.

최하단에서부터 위칸까지는 무관 출신이 벼슬한 당시 소속청의 상관 이름을 기록해 서로 제휴하는 뜻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는 원수부나 오위에 오른 저명한 장군도 포함되어 있다.

오늘날 귀천을 가리지 않고 뿌리를 찾으려고 하는 때, 지난날 냉대 속에서도 자기들과 연관을 가진 사람들의 신상기록을 수집해 하나의 계보를 만들고 그 계보를 이용해서 획기적인 사업을 꿈꾸던 사람들의 사상이 엿보인다. 장서각도서 및 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