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매장 해역 (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에 있는 고려시대 청자 대접 · 접시류 등의 해저유물. 청자매장해역.
이칭
이칭
무안도리포고려청자매장해역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매장해역(務安 道里浦 海底遺物 埋藏海域)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수중유물/유물매장해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97년 04월 18일 지정)
소재지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도리포 앞바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에 있는 고려시대 청자 대접 · 접시류 등의 해저유물. 청자매장해역.
내용

199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도리포에서 북서 방향으로 약 3㎞ 떨어진 곳으로 함평만에 속하며, 북위 35°09′22″, 동경 126°18′38″에 위치한다. 1995년 10월 민간인 잠수사들에 의해 청자 대접 등 120여 점의 유물이 인양됨에 따라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현장의 수심은 평균 8∼10m이며, 조석에 의한 수심의 변화는 약 4m 정도가 된다.

해저는 개흙과 모래가 섞인 지형으로서, 해저층의 유속(流速)은 2∼3노트이며 수중 시계(視界)는 조금 때만 1.5m이다. 조사 결과 선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청자 대접과 접시류 447점과 청자 잔탁과 잔이 각각 1점씩 모두 449점의 청자를 인양하였다. 인양 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1.5㎞ 범위 내의 전 해역을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인양된 청자들은 대부분이 대접·접시류로, 전성기의 청자에 비해 그릇의 기벽이 두꺼운 편이며 유색도 비색과는 달리 갈색이 강하다. 또 상감기법으로 시문된 구름, 봉황, 국화, 모란, 연화, 버들 등의 각종 문양은 전성기 때의 문양에서 간략하게 변형·생략되었으며, 대부분 도장으로 찍은 인화기법(印花技法)으로 시문되었다. 굽다리 접지면의 유약을 닦아내고 굵은 모래를 받쳐서 구웠으며, 간혹 내저면과 접지면에 태토(胎土) 비짐눈을 받쳐 구운 것도 있다.

이 청자는 고려청자의 쇠퇴기인 14세기에 만들어진 것들로, 고려 말기 청자와 조선 초기 분청사기 연구와 당시 사람들의 도자공예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무안도리포해저유물』(국립해양유물전시관,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