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판본. 1911년 후손 철우(喆愚)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의 서문과 권말에 철우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213수, 만사 12수, 소(疏) 3편, 서(書) 5편, 제문 9편, 묘지명 5편, 행록(行錄) 1편, 잡저 1편, 권4는 부록으로 연보·행장·묘지명 각 1편과 만사 21편, 제문 7편, 증행서(贈行序)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대개 친지들과 안부를 교환한 것으로 학문적인 내용은 별로 없다.
잡저인 「한거잡기(閑居雜記)」는 책을 읽거나 생활하는 중에 보고 들은 이야기들을 만필(謾筆) 형식으로 기록한 글로, 청빈한 선비의 이야기로부터 탐관오리, 조상이 남긴 일화 등이 들어 있다. 그 중 그의 할아버지인 정경세(鄭經世)에 대한 이야기가 많고, 김자점(金自點)과 그의 재종질 김연(金演)의 이야기, 임진왜란 때 이전(李㙉) 형제가 백화산(白華山)에서 난리를 피한 일 등 역사의 숨은 이야기들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