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세배 (묵은)

목차
민속·인류
개념
섣달 그믐날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인사로 윗사람이나 조상신에게 절을 하는 세시풍속. 구세배.
이칭
이칭
구세배
목차
정의
섣달 그믐날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인사로 윗사람이나 조상신에게 절을 하는 세시풍속. 구세배.
내용

한자어로는 ‘구세배(舊歲拜)’라고 한다.

≪동국세시기≫에는 “조신(朝臣) 2품 이상과 시종신(侍從臣)들은 제석(除夕)에 대궐에 들어가 묵은해 문안을 올린다. 사대부집에서는 사당에 참례한다. 또, 연소자들은 친척 어른들을 찾아서 문안하는데 이를 묵은세배[舊歲拜]라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세배라고 하면 설날에 새해의 첫인사로 알고 있으나 묵은해를 보내는 한해의 마지막날에도 한해를 무사히 보냈음을 알리는 인사를 한다. 저녁에 사당에 절을 하며 조상의 신령에게 한해가 다 갔음을 알리고 한해를 아무 탈없이 지냈음을 조상의 은덕이라 생각하고 감사하는 예이다.

그러나 지금은 사당이 거의 없어져서 이러한 사당제는 찾아보기 어렵고, 묵은세배 또한 지금은 많이 줄어들고 있다. 그믐날 낮 조상의 산소에 찾아가 성묘를 하는데, 이도 역시 묵은세배에 해당된다. 또, 집에서 어른에게나 일가친척에게도 묵은세배를 올린다.

대소가가 많을 경우, 세밑에는 바쁘기 때문에 일을 마치고 난 다음 밤 늦도록 묵은세배를 다니는 일도 있다. 노인·어른들은 의관(衣冠)을 단정하게 하고 묵은 세배 오는 사람을 기다려 맞이한다. 묵은 세배꾼이 많이 찾아오는 종가에서는 밤에도 사당에 불을 밝혀 둔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집필자
임동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