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묵재문집
묵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용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용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1년 증손 성수(聖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증손뻘 되는 진수(晉秀)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74수, 서(書) 28편, 기 1편, 축문 1편, 가장 1편, 부록으로 만사 44수, 제문 4편, 가장후서(家狀後敍) 1편, 묘갈명 1편, 묘지명 1편, 가장 1편, 묵재기(默齋記)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매우 간결하면서도 섬세하고 사실적인 묘사에 뛰어나다. 그 중 「등루구점(登樓口占)」과 「낙성춘(洛城春)」에는 주위의 광경과 시적 감상이 잘 표현되어 있다. 「영회(詠懷)」와 「억고산매(憶故山梅)」는 상상의 세계를 한가롭게 거니는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서(書) 중 「답유사현(答柳士鉉)」은 유태좌(柳台佐)에게 보낸 글로, 스승의 가르침을 잘 지키고 동문들을 대접해서 함께 뜻한 바를 이룰 것을 당부하고 있다. 「답김공목(答金公穆)」은 김희주(金熙周)에게 보낸 것으로, 주희(朱熹)의 고사를 논하고, 학문을 진흥시킬 수 있는 방법과 선비들의 처신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한 글이다.

「묵옹기(默翁記)」는 호를 묵재(默齋)라고 한 까닭과 자신의 결심을 밝히고, 수신·제가의 길을 소중히 지켜가겠다는 자서전적인 글이다. 가장은 홍수로 인하여 죽은 아버지의 평생이력과 수해의 전말을 기록한 것으로, 애통한 감회를 그리고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