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안비 ()

목차
민속·인류
개념
조선시대 정초에 부인네들의 심부름으로 새해 인사를 다니던 하녀.
목차
정의
조선시대 정초에 부인네들의 심부름으로 새해 인사를 다니던 하녀.
내용

조선 말기까지만 해도 여자는 남자와 같이 바깥출입을 자유로이 할 수가 없었다. 그런 까닭에 설날에 여자는 세배하러 돌아다니지 않았으나, 양반집 부녀자들은 자기 대신 잘 차려 입은 젊은 계집종을 보내어 새해 문안을 교환하였다.

문안비는 주로 일가친척이나 그 밖의 관계가 있는 집에 보내는데, “과세 안녕하셨습니까? 새해에는 소원성취하신다니 고맙습니다.”라고 새해 인사를 전하게 된다. 한편, 문안비의 새해 인사를 받은 집에서는 그 문안비에게 세배상을 차려주며, 약간의 세뱃돈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답례로 문안비를 보낸 집에 이쪽에서도 문안비를 보내게 된다. 문헌에 나타난 문안비에 대한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원일조에, 사돈집에서는 부인네들이 잘 차려 입은 어린 하녀를 서로 보내어 새해 평안함을 물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조선 영조 때의 학자 이광려(李匡呂)는 이러한 세시풍속을, “뉘 집 문안비가 문안하려고 뉘 집으로 들어가는고(誰家問安婢 問安入誰家).”라는 시구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韓國)의 세시풍속(歲時風俗)』(최상수, 홍인문화사, 1969)
집필자
최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