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유집 ()

목차
관련 정보
문자유집
문자유집
조선시대사
문헌
여러 전적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식들을 발췌하여 부문별로 정리한 유서(類書).
목차
정의
여러 전적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식들을 발췌하여 부문별로 정리한 유서(類書).
내용

1책. 목판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대를 알 수 없다.

체재를 보면 천도(天道)·지도(地道)·만물(萬物)·인륜(人倫)·유도(儒道)·인사(人事)·군도(君道)·신도(臣道)·천관(天官)·지관(地官)·춘관(春官)·하관(夏官)·추관(秋官) 등의 부문으로 대별하고 다시 각 부문별로 세분하여 각각 관계있는 글귀를 수록하였다.

「천도문」의 경우, 천(天)·일(日)·성신(星辰)·음양(陰陽)·운(雲)·하한(河漢)·풍(風)·우(雨) 등 41가지로 세분하고, 그 중 천자부(天字部)에는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십이루(十二樓)·구만리(九萬里)·벽소전(碧霄展)·백옥루(白玉樓)·성만물(成萬物)·부팔황(覆八荒)·좌정관천(坐井觀天)·측관규천(側管窺天)·광대(廣大)·청명(淸明) 등 하늘과 관련된 글귀 62가지를 열거하였다.

또, 「천관」등 육조(六曹) 부문에서는 역시 각 조의 이칭(異稱)을 비롯하여 그 기능·직책 및 이상적 고사의 예들을 들었다.

이밖에 「인륜문」이나 「유도문」 등도 이와 같은 형식으로 분류, 편집하여 어떤 사물을 표현하고자 할 때 거기 알맞은 글귀를 찾아 쓰는 데 편리하게 하였고, 또 그 문구와 관련된 사물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끝에는 목후이관(沐猴而冠 : 원숭이가 관을 쓴 것처럼 외모는 사람 같지만 마음은 원숭이처럼 미련함을 냉소하는 말)·송무백열(松茂柏悅 :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는 것처럼 동지가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한 말) 등 사물의 비유로 쓰이는 성어 및 교훈적인 명구를 수록하였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