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학생결사 ()

근대사
단체
1930년대 전쟁을 반대하기 위해 조직되었던 학생단체.
목차
정의
1930년대 전쟁을 반대하기 위해 조직되었던 학생단체.
개설

처음에는 일본의 일부 기성인층과 학생계에서 반전운동이 일어났다. 그 후 국내에도 그 영향이 파급되어 특히 각급 학교의 학생들이 이에 동조, 반전학생결사가 속출하기 시작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31년부터 1933년에 걸쳐 일어난 한국학생들의 반전학생결사는 다음과 같다.

1931년 서울의 경우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227명)를 비롯해 고학당(苦學堂)·경성제국대학·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제2고등보통학교·경신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서울법대 전신)·경성기독교청년회학관·중앙기독교청년회학관(50명)·송도고등보통학교·개성공립상업학교·보성고등보통학교·경성제1고등보통학교(21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휘문고등보통학교·중앙고등보통학교·중동학교(37명) 등이 반전학생결사에 가담, 열렬히 투쟁하다가 150여 명이 검거당하였다.

이어 경상남도의 산호리야학교(7명)·부산진공립보통학교(7명)·진주공립농업학교(21명), 경상북도의 대구사범학교(37명), 충청북도의 진천성성학교(2명), 평안남도의 평양공립보통학교(16명), 함경남도의 함흥공립상업학교(24명) 등이 이에 가담하였다.

1932년에는 전라북도의 전주사립신흥학교(26명)·전주공립고등보통학교(73명)·이리공립농림학교(30명), 평안북도의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26명), 강원도의 고성사립강성학원(4명), 제주공립농업학교(4명), 서울의 경성공립농업학교(19명), 황해도의 사리원공립농업학교(28명), 함경남도의 공·사립 각급학교(54명), 원산의 각 중학교(12명), 경상남도의 밀양공립농업학교(4명), 수원오산농우학원(8명), 평안북도의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3명), 충청남도의 예산공립농업학교(23명), 평안남도의 진남포공립상공학교(25명)·남산현여자야학교(1명) 등 200여 명이 검거당하였다.

1933년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서울의 사립보성고등보통학교(25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5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4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4명)·경성제2고등보통학교(11명)·경성여자상업학교(4명)·중앙고등보통학교(9명), 전라남도의 수피아여학교(9명)·송정리공업전습학교(5명), 함경남도의 용원공립보통학교(5명), 평안북도의 영변공립농업학교(12명), 경상남도의 부산제2상업학교(11명)·진흥공립보통학교외 7교(29명)·진주고등보통학교(22명), 황해도의 해주고등보통학교(22명), 봉산과 서흥 및 평산의 각 서당(10명), 전라북도의 정읍공립농업학교(18명), 충청남도의 유성공립보통학교(4명), 강원도의 사립모곡학교(18명)·강릉농업학교(48명), 경상북도의 대구공립농림학교(27명) 등에서 350여 명이 검거되었다.

1930년대 전반에 걸쳐 반전학생결사에는 전국의 공사립 각급학교에서 수천 명의 남녀학생이 참가하였다. 그들은 독서회, 비밀결사, 격문, 불경사건, 사회과학연구회, 학생돌격대, 노동조합, 문우회조직사건, 교사·학생의 연대비밀결사, 적우회(赤友會), 비밀결사동반회, TK단, RS협의회, 교사의 혁명선동교원조합사건, 반제(反帝)학생동맹, 청년학생회사건 등 각종의 명목을 띤 비밀결사의 항쟁으로 반전운동을 연대투쟁해나갔다.

참고문헌

『항일학생민족운동사연구(抗日學生民族運動史硏究)』(정세현, 일지사, 1975)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朝鮮總督府警務局 復刻版, 1966)
집필자
이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