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현 ()

목차
도교
인물
고려후기 제23대 고종 때 삼랑성과 신니동을 도읍지로 점지한 풍수지리가. 도참사상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목차
정의
고려후기 제23대 고종 때 삼랑성과 신니동을 도읍지로 점지한 풍수지리가. 도참사상가.
내용

천문과 지리를 깊이 연구하여 지방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명당과 산세를 살펴 길흉을 점쳤다. 고종 말년에 천거에 의해 낭장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안주하지 못하였다.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에 임시도읍을 정하고 있던 왕이 적당한 도읍지로 어디가 좋으냐고 묻자, 삼랑성(三郎城)과 신니동(神尼洞)에 가궐(假闕)을 지으면 적이 물러가 평화가 올 것이라 하여 시행되기도 하였다.

1264년(원종 5) 몽고가 화평을 구실로 왕을 입조하라고 요구하자 권신인 김준(金俊)을 통해서 진언하기를, 마리산(摩利山) 참성(塹城)에서 왕이 친히 제사를 지내고, 또 삼랑성과 신니동에 가궐을 짓고 친히 대불정오성도량(大佛頂五星道場)을 열면 8개월이 안 되어 친조(親朝) 문제가 해결되고 주위의 대국들이 조공을 드리러 올 것이라고 하였다.

왕은 그 말을 믿고 내시대장군(內侍大將軍) 조문주(趙文柱), 국자감좨주 김구(金坵), 장군 송송례(宋松禮) 등에게 명하여 가궐을 짓게 하였다. 그 뒤 다시 도참설에 근거하여 왕의 이름에 교(釗)자를 넣어 어인(御印)의 개정을 요청하였고, 왕은 이에 따라 이름을 바꾸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高麗)의 도교사상(道敎思想)」(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