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송사 목장승 ( 장승)

목차
관련 정보
함양 벽송사 목장승
함양 벽송사 목장승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벽송사 입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세워진 한 쌍의 장승. 목장승.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벽송사 입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세워진 한 쌍의 장승. 목장승.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2기(基). 1974년 경상남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사찰에 잡귀의 출입을 막고 사원 경내의 각종 규제와 풍수비보(風水裨補)를 지켜주는 수문(守門)과 호법(護法)의 신장상(神將像) 구실을 한다. 1910년대쯤에 세워졌다고 한다.

재질은 밤나무인데, 왼쪽의 장승은 머리부분이 불에 타 없어졌고 왕방울눈도 하나만 남아 있으며 코도 거의 알아볼 수 없다. 그러나 입은 홀쭉하게 꼭 다물어 뺨이 움푹 패인 모습과 그 아래 짧은 수염의 형태가 남아 있다.

몸통도 부패하여 반쯤밖에 남아 있지 않으며, 높이 180㎝에 둘레 125㎝로 금호장군(禁護將軍)이라고 새긴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오른쪽 장승은 둥근 짱구모양의 민대머리에 공을 박아놓은 듯한 왕눈, 그리고 주먹코의 모습이다.

입모양은 역시 합죽하며 입 주위에 불꽃무늬 같은 수염이 표현되어 있고, 턱밑에도 수염이 있다. 이와 귀는 새기지 않았고, 높이 200㎝에 둘레 130㎝로 몸통에 호법대신(護法大神)이라고 새겨 있다.

이 장승은 그 기능에 따라 과장적이고 질박한 민속적 조각수법의 전형을 보이며, 장승을 절의 수문신장으로 세워 불교와 민속신앙의 습합양상을 드러내는 좋은 예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벅수신앙현지조사』(이종철, 국립광주박물관, 1985)
집필자
이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