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방진 ()

목차
관련 정보
제주 별방진 전경
제주 별방진 전경
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조선전기 왜구방비를 위해 축조한 진(鎭). 방호소(防護所). 시도기념물.
목차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조선전기 왜구방비를 위해 축조한 진(鎭). 방호소(防護所). 시도기념물.
내용

1974년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510년(중종 5) 제주목사(濟州牧使) 장림(張琳)이 김녕(金寧) 읍에 있던 방호소(防護所)를 이곳으로 옮겨 다시 축성(築城)한 것이다.

그 이유는 우도(牛島) 부근에 빈번히 출몰하는 왜구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한 것이었다. 성의 규모는 둘레 2,390척(약 72㎞), 높이 7척(약 2.1m)이었으며, 1848년(헌종 14) 목사 장인식(張寅植)이 중수하였다.

동·서·남 세 곳에 문을 두었고 문 위에는 초루가 있었다. 성의 형태는 동서의 길이가 긴 타원형으로 전체적인 지형은 남고북저(南高北低)였다. 성안에는 진사(鎭舍)·객사(客舍)·군기고(軍器庫)·별창(別倉)·대변청(大變廳) 등의 시설물이 있었으며, 병력으로 책임자인 조방장(助防將) 1인을 비롯하여 치총(雉摠)·성정군(城丁軍)·방군(防軍)·방포수(防砲手)·궁인(弓人)·시인(矢人)·봉군(烽軍) 등이 배치되어 있었다.

1907년 군기고 혁파 이후 점차 성이 파괴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하도리 포구 공사로 북쪽 성렬이 모두 파괴되고 말았다. 현재 동·서·남쪽 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탐라지(耽羅志)』(이원진, 1653)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이형상, 1703)
『제주의 방어유적』(제주도, 199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