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이래의 유적이나 석탑들 속에서 흙이나 돌로 만든 소형탑들이 발견되며, 가끔 금속제의 공예탑 조각들이 발견되는 예도 있으나, 현재까지 완형품이 발견된 예는 드물다. 고려시대에 이르면 완형의 형식을 갖춘 금동제의 소탑들이 발견되는데, 당시의 목조다층누각(木造多層樓閣)형식을 충실히 모방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이 시기의 금동제 소탑의 탑신이나 옥개 부분 등에는 약간의 장식이 가미되어 화려하게 보이기도 하며, 목조건축물의 세부를 축소하여 나타냄으로써 당시 목조건축물의 구조를 증명하는 자료도 된다.
또한, 당시 석조탑의 형식과도 형태가 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이러한 보탑들은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에서는 다보불(多寶佛)의 신앙을 나타내는 탑의 일종으로 보고 있다.
그 형태는 단층과 중층의 두 가지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 발견되는 토제·목제·석제·금동제·철제 등의 소형탑들은 대개 상륜부를 갖춘 다층탑으로, 목탑이나 석탑 내지 목조건축물의 누각 형식을 충실히 표현하고 있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추정하거나 증명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들 공예 소탑들이 반드시 ≪법화경≫ 속에 보이는 다보불을 나타내는 소탑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석탑 속에서 발견되는 사리장엄구 중 소탑 형식을 갖춘 사리기들이 종종 발견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공예소탑과 사리장엄구는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공예석탑의 예는 다음과 같다. 1965년 12월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석탑 안에서 발견된 납석제 석탑 6기, 1962년 12월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납석제 석탑, 전 경주 출토 토제 소탑 7기, 1957년 대구광역시 동화사 금당암 석탑 안에서 발견된 납석제 소탑 53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흥동 오층석탑 안에서 발견된 목제 소탑 7기, 강원도 양양군 선림원지 삼층석탑에서 사리장엄구와 함께 발견된 납석제 소탑, 해인사 일주문 앞 삼층석탑 내에서 발견된 토제 소탑 수십 기.
그 밖에도 금동제 다층소탑(높이 19.2㎝), 청동제 소탑(높이 13㎝), 청동제 11층탑(높이 74.5㎝) 등 금속제 다층탑들도 많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