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건 ()

목차
관련 정보
복건
복건
의생활
물품
검은 천으로 만든 관모.
목차
정의
검은 천으로 만든 관모.
내용

만들 때 온폭[全幅]의 천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건이라 이름하게 되었다. 복건(幞巾)이라고도 한다. 흑색 증(繒 : 여름에는 紗) 6자를 귀모양으로 만드는데, 드림을 뒤로 하여 머리에 쓰고 윗단으로 이마를 묶은 후 끈을 두 개 달아 머리 뒤쪽에서 잡아맨다. 이것은 본래 중국 고대로부터 관(冠)을 대신하는 간편한 쓰개였다.

후한 때 유행되었으나, 진나라와 당대에 이르러서는 은사나 도인의 아복(雅服 : 평상복)이 되었다. 그 뒤 송대에 와서 사마광(司馬光)이 복건과 심의(深衣)를 연거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이를 주희(朱熹)가 ≪가례 家禮≫에 추거한 이후 유학자들 사이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조선시대에 주자학의 전래와 더불어 유학자들이 심의와 함께 유가(儒家)의 법복으로 숭상하여 착용하게 되었으나 그 모습이 매우 괴상하여 일반화되지는 못하였고, 소수의 유학자들에 의해서만 조선 말기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관례 때의 복장으로 초가(初加) 때 심의와 함께 사용되었고, 관례 뒤 흑립을 쓰기 전까지 초립(草笠)의 받침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뒤에는 남자아이의 돌에 장식적 쓰개로 쓰게 하여, 관례를 치르기 전까지 예모(禮帽)로 착용하였다.

참고문헌

『사례편람(四禮便覽)』
『조선상식』(최남선, 현암사, 1973)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유희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