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주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봉주유고 / 유황
봉주유고 / 유황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유황의 시 · 응제문 · 계 · 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유황의 시 · 응제문 · 계 · 행장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7권 2책. 필사본. 조선 후기에 편집, 필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3에 시, 권4에 응제문(應製文), 권5에 계(啓)·소(疏), 권6에 행장, 권7에 잡저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율시(律詩)·고시(古詩)·배율(排律) 등으로서, 축하시·전별시·만사 및 당시 교유 인사들과 수창한 것이 대부분이다.

응제문은 임금의 명에 의하여 지은 글로, 여기에는 효종의 구언교서(求言敎書)를 비롯하여 이시백(李時白)을 수어사(守禦使)로, 신경호(申景琥)를 경기수사(京畿水使)로, 정유성(鄭維城)을 황해감사로, 원두표(元斗杓)를 전라감사로 보내면서 내린 교서와 권대임(權大任)·윤명은(尹鳴殷)·김두남(金斗南) 등에게 내린 치제문(致祭文), 그리고 산천·우사(雩祠) 등의 기우제문을 왕을 대신하여 쓴 것이 있다.

계·소는 저자가 정언·승지 등의 관직에 있을 때 올린 인피계(引避啓)·사직소(辭職疏) 등이 대부분이며, 행장은 저자 아버지 성증(省曾)의 행장 1편이다. 잡저는 저자가 과거에 응시하여 답안으로 지은 시부(詩賦)·대책(對策) 등의 과문(科文)이다.

이 책 중에서 특히 응제문·계·소 등은 저자가 평소 관직에 있으면서 작성한 글들을 모은 것으로, 이는 당시 관원 임용제도, 관원들의 처신문제, 인재 선발방법, 관원 상호간의 유대관계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순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