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하철 ()

목차
관련 정보
부산시 전철
부산시 전철
교통
지명
부산광역시에 건설된 도시 철도.
정의
부산광역시에 건설된 도시 철도.
개설

1985년 7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현재는 부산지하철 4호선까지 운행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도시내 교통량을 흡수함으로써 지상의 교통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1981년에 부산시지하철건설본부가 설치되어 1호선 건설공사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6월에 1단계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범내골에 이르는 16.2㎞ 구간이 착공되어, 1985년 7월에 개통하였다. 2단계 범내골∼중앙동 구간의 5.4㎞가 1987년에 완공되었다. 3단계 중앙동∼서대신동의 4.5㎞ 구간은 1990년에 완공되었다. 4단계 서대신동∼신평의 6.4㎞ 구간은 1994년 6월에 완공되었다. 2017년 다대포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이로써 부산지하철 1호선은 총연장 40.48㎞에 정류장40개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노선은 부산의 동북쪽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진다.

부산지하철 2호선은 1991년 11월에 1단계 구간인 경상남도 양산시 호포∼서면 구간의 21.7㎞가 착공되어 1999년에 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인 서면∼장산의 16.3㎞ 구간은 2002년 8월에 개통되었다. 이로써 부산지하철 2호선은 총연장 45.2㎞에 42개의 역이 운영 중에 있다. 노선은 부산의 서북쪽에 위치한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남쪽방향으로 이어지다가 사상역에서는 동서방향으로 연장된다.

부산지하철 3호선은 1997년 11월에 대저∼수영 간의 18.1㎞ 구간이 착공되어 2005년 11월부터 운행중에 있으며, 정류장은 17개소가 설치되었다. 노선은 부산 중부를 동서방향으로 관통한다. 3호선의 2단계 구간인 미남∼안평 간의 12.0㎞ 구간은 4호선으로 변경되어 경전철로 건설되었다.

4호선은 2010년 12월 공사를 마치고 2011년 3월 30일 개통하였는데, 모두 14개의 정거장과 2개의 환승시설(미남역, 동래역)을 갖추고 있다.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을 도입한 최첨단설비를 구비하고 있으며 미남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고 동래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의 지하철 운행은 1979년 5월에 부산지하철 기획단이 발족됨으로써 건설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시역에 5개 노선의 도시 고속전철 계획이 수립되었다. 도시의 인구 성장에 따른 교통 혼잡의 완화, 지역개발, 도시 환경의 개선, 시민의 통행 시간 절약과 교통 관리비 및 차량 대수의 절감, 에너지와 도로 투자 절약, 공해발생 최소화, 안전·정확성, 쾌속·신속성 등의 면에서 추진된 것이다.

현황

부산의 지하철은 부산시내를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부산시내의 교통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부산 주변 위성도시들과의 접근성을 향상시켜주고 있다. 1호선은 하루에 364회 운행하며 2012년의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43만명이다. 2호선은 하루에 345회 운행하며 2012년의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29만 8,000명이다. 3호선은 하루에 320회 운행하며 2012년의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8만 8,000명이다. 4호선은 하루에 310회 운행하며 2012년의 일일평균 수송인원은 2만 6,600명이다.

한편, 부산과 김해를 오가는 부산김해경전철(총 연장 23.455㎞)이 2011년 9월 16일부터 운행을 시작함으로써 부산을 중심으로 한 간선철도망 건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참고문헌

『부산통계연보』(부산광역시, 1996)
『부산광역시』(1995 행정백서, 1995)
『부산지하철 제1호선건설지』(부산직할시지하철본부, 1985·1987)
부산교통공사(www.humetro.busan.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한주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