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

목차
관련 정보
부산항
부산항
교통
지명
부산광역시에 있는 항구.
이칭
이칭
부산포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항구.
개설

1876년에 개항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이다. 본격적인 개발은 개항 30년 후인 1906년부터 이루어졌다.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으로 내외무역은 물론 해외 여객수송의 관문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아시아의 허브항(hub·port)으로 도약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해양을 이용한 주변국가 간의 월경적 협력사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산항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역할도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1876년에 부산포라는 이름으로 개항하였으며,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의하여 일본의 상륙항으로서 부산항의 축항 공사가 실시되었다.

그 뒤 1912년에 제1부두, 1927년에 제2부두, 1944년에 제3부두와 중앙부두가, 1943년에 제4부두 일부가 건설되어 1만 톤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항만으로 되었다. 연간 하역 능력은 450만 톤으로 전국 하역 능력의 45%를 차지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 제1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의 실시로 전면적인 항만 정비와 개발, 확장사업이 1970년대까지 진행되었으며, 그 뒤에도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졌다. 1978년에는 컨테이너 부두인 자성대 부두를 개장하였으며, 1985년부터 시작된 3단계 개발사업으로 1991년 6월에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 1998년 5월에 제4단계 개발사업인 감만 컨테이너 부두가 개장되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는 1995년부터 부산신항 개발공사가 시작되어 2008년에 1단계 공사가 마무리되었으며 2015년까지 2단계 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2008년 12월에는 북항재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항만의 기능을 강화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물류거점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주요 항만시설은 안벽이 2만 6,159m, 방파제 6,069m, 물양장 9,604m, 잔교 303기 등이 있다. 선박접안능력은 151척으로, 5만 톤급 24척, 3만 톤급 3척, 2만 톤급 12척, 1만 톤급 30척을 비롯하여 1만 톤급 이하 82척이다. 연간 하역능력은 1억 9백 만톤에 달한다.

부산항은 컨테이너 부두(자성대 부두, 신선대 부두, 신감만 부두, 우암 부두, 감천한진 부두, 신항 부두 등), TOC 부두(중앙부두, 제3부두, 제4부두, 제7·1부두, 제7·2부두, 감천중앙 부두 등), 기타 부두(연안여객 부두, 국제여객 부두, 제1부두, 제2부두, 관공선 부두, 양곡 부두 등)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부산지방해양항만청에서 관리하는 감천항과 다대포항이 포함된다.

북항(北港)은 국제 무역항으로서 중추적인 구실을 담당하고 있으며, 북항 일반부두는 컨테이너선외의 일반화물선이 화물을 하역하는 부두이다. 북항 일반부두를 제외한 부산항의 대부분의 일반부두에서는 1990년대부터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 컨테이너 화물이 취급되고 있다. 감천항은 1979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고철·원양어업, 연안잡화, 시멘트, 조선항구로 개발 중이다. 또한 부산공동어시장 및 수산물도매시장(자갈치시장)과 인접해 있는 남항(南港)은 자갈치 수산물 냉동 및 가공업으로, 수영만은 요트 경기 및 위락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제1·2부두는 1977년과 1979년에 각각 개축되어 일반 잡화, 컨테이너 부두로, 1981년에 개축된 제3·4부두는 중앙부두와 함께 일반 잡화, 컨테이너 부두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5·6부두는 1979년에 양곡 및 컨테이너 전용 부두로, 제7부두는 1978년 고철과 광석, 무연탄 전용 부두로, 제8부두는 1980년에 특수 화물 전용 부두로 준공되었다.

또 국제 및 연안 여객부두가 준공되어 역사상 최초로 차량 통관 시설을 갖춘 국제적 여객부두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중앙부두는 철재를, 용호부두는 냉동 어획물을 취급하였으며 자성대,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도 완성되었다.

현황

부두 연안 정기 여객선 항로는 국제여객선이 일본의 오사카·시모노세키·후쿠오카·이즈하라·히타카츠 등의 5개 항로가 운항되고 있으며, 국내여객선은 부산∼제주 간을 포함한 4개 노선이 있다. 2009년의 수송실적은 여객 182만 2,841명으로 연안여객 91만 1,354명, 국제여객 91만 1,487명이다, 여객터미널의 화물수송실적은 268만 504톤으로, 연안화물 18만 6,107톤, 국제화물 249만 4,397톤이다.

2009년의 전체 입출항 선박은 10만 113척이며 총톤수는 8억 5,233만 3,909톤에 달한다. 그 가운데 외항선은 5만 2,163척에 8억 1,017만 9,191톤이고, 내항선은 4만 7,950척에 4,215만 4,718톤이다. 외항선의 입항 척수는 2만 6,041척이고 총톤수는 4억 448만 9,887톤이며,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에서 입항한 선박이 1만 2,874척에 1억 8,956만 8,603톤으로 가장 비중이 크다. 그 다음은 일본에서 입항한 선박이 8,397척에 5,756만 7,872톤, 북미에서 입항한 선박이 884척에 4,467만 6,814톤, 동남아시아에서 입항한 선박이 1,499척에 3,420만 7,033톤, 유럽에서 입항한 선박이 761척에 2,620만 5,575톤 등이다.

외항선의 출항선은 2만 6,122척이고 총톤수는 4억 568만 9,304톤이며,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로 출항한 선박이 1만 1,976척에 1억 8,493만 6,177톤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은 일본으로 출항한 선박이 8,745척에 5,335만 8,173톤, 북미로 출항한 선박이 1,007척에 4,945만 8,682톤, 동남아시아로 출항한 선박이 1,671척에 3,436만 1,522톤, 유럽으로 출항한 선박이 759척에 2,641만 4,296톤 등이다.

2009년의 입출항 화물물동량 처리실적은 모두 2억 2,618만 1,574톤이며, 이 가운데 컨테이너가 1억 9,992만 8,456톤에 달한다. 입항 물동량은 1억 1,664만 4,878톤이고, 그 가운데 컨테이너가 8,986만 1,439톤이다. 출항 물동량은 1억 953만 6,696톤이며, 컨테이너는 1억 1,006만 7,017톤을 차지한다. 품목별 화물은 방직용섬유 및 관련제품이 7,203만 631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뒤를 이어 기계류 및 관련부품 1,890만 5,369톤, 전기기기 및 관련부품 1,861만 1,841톤, 화학공업생산품 1,031만 9,166톤, 철강 및 관련부품 977만 3,187톤, 석유정제품 823만 4,471톤 등이다.

2009년에 연안으로 입출항한 입항 척수는 모두 2만 3,971척이고 입항 톤수는 2,104만 6,442톤이다. 출항 척수는 2만 3,979척이고 출항 톤수는 2,110만 8,276톤이다. 한편 연안 입항화물은 912만 3,381톤이고 연안 출항화물은 182만 1,331톤이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제1의 항만으로서 우리나라 총 해상수출화물의 40%, 컨테이너 화물의 80%, 전국 수산물생산량의 42%를 처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토해양통계』(국토해양부, 2008)
『해운항만통계연보』(해운항만청, 1996)
『부산통계연보』(부산광역시, 1996)
『전국 항만 기본계획』(해운항만청, 1994)
『해운항만청10년사』(해운항만청, 1986)
『한국해운항만사』(해운항만청, 1980)
국토해양부해양물류정보시스템(http://spidc.go.kr)
부산항만공사(www.busanpa.com)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한주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