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쌍북리 요지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쌍북리 요지 전경
부여 쌍북리 요지 전경
공예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기와와 토기를 굽던 가마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쌍북리 요지(扶餘 雙北里 窯址)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토기가마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30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기와와 토기를 굽던 가마터.
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919㎡. 1941년 5월에 실시한 부여읍 금성산과 남영공원 사이를 통과하는 간선도로 공사 때 금성산의 서쪽 산기슭에서 가마 1기(基)가 발견되어 일본인에 의하여 수습조사가 이루어졌다.

당시의 간략한 조사일지에 의하면, 가마의 경사도는 약 35°정도로 매우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가마 내부의 소성실(燒成室)에 단(段)이 형성된 계단식 등요(階段式登窯)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가마의 전체 길이가 8m 가량이고, 갱구(坑口)의 높이가 72㎝ 내외인데, 가마 안에서 기와 2장과 많은 토기 파편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에 출토된 기와나 토기 파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않아 제품의 수급관계, 가마의 개요(開窯) 및 폐요(廢窯)의 시기 등이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간선도로와 인접된 금성산 서쪽 산기슭의 북사면(北斜面) 등에 가마의 일부만이 남아 있을 뿐 대부분이 유실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의 조사일지와 가마터의 입지조건 등을 감안한다면, 이 요지는 산기슭의 경사면을 굴착하여 구축한 지하식(地下式)으로 소성실 바닥에 단이 있는 계단식 등요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와와 토기를 함께 생산하여 공급한 와도겸업요(瓦陶兼業窯)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백제가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한 6세기 전반경에 개요한 중요한 백제시대의 가마터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부여군지』(부여군지편찬위원회, 1987)
「부여의 백제요지와 출토유물에 대하여」(김성구, 『백제연구』21,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