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우헌가 ()

불우헌집 / 불우헌가
불우헌집 / 불우헌가
고전시가
작품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정의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불우헌집(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벼슬을 그만두고 향리 태인에서 자제들을 교육하고 있을 때, 성종은 그에게 삼품산관(三品散官)의 관작을 내리고, 전라도관찰사로 하여금 때때로 혜택을 베풀도록 하였다.

이 은전에 감격한 그는 경기체가인 「불우헌곡(不憂軒曲)」과 이 「불우헌가」를 지어, 성군의 만수무강을 송축하였다.

내용

내용은 관리의 세계에서 뜻대로 되는 일이 없었는데, 이러한 은혜와 광영을 입고 보니, 이 영광스러운 모습을 어서 속히 임금에게 보이고 싶다는 것이다.

형식은 재래의 송축가형식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그 연원은 고려시대의 진작악조(眞勺樂調)인 「정과정곡(鄭瓜亭曲)」에서 유래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것이 조선시대 「유림가(儒林歌)」와 「신도가(新都歌)」 등의 송축가를 거쳐 「불우헌가」에까지 연계된 것으로 본다.

그 이유는 음보·자수(字數)·곡태(曲態)가 「정과정곡」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식은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를 거쳐 후세의 가곡(5장으로 칭하는 것)으로까지 발달한다.

의의와 평가

한문현토식 문투에다 반복어이자 감탄어형인 ‘뵈고시라’와 ‘하고 만코 ᄒᆞ니이다’를 삽입시켜 짓고, 그 내용이 스스로의 현명함의 과장, 그리고 영예를 노래하였다는 점에서 진부한 느낌과 빈축을 산다. 그러나 형식상으로는 고시가의 형식적 발달과 그 계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불우헌집(不憂軒集)』
「불우헌가곡연구(不憂軒歌曲硏究)」(권영철, 『국문학연구』 2, 효성여자대학, 196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익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