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류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규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규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15년 아들 종롱(鍾巃)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이매구(李邁久)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01수, 권3·4에 서(書) 116편, 권5에 책(策)·서(序)·명(銘)·발(跋)·상량문·기(記)·축문 각1편, 제문 18편, 묘갈명·묘지명 각1편, 권6은 부록으로 만사 19수, 제문 11편, 유사·행장·묘갈명 각 1편, 유묵(遺墨) 2점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풍격이 호방하고 패기가 넘치는 것이 「등백운대(登白雲臺)」·「서회(敍懷)」 등에 잘 나타나 있으며, 「정야유사(靜夜有思)」·「추야장(秋夜長)」·「낙엽(落葉)」 등에는 계절의 감각이 읊어져 있다.

서(書)에는 조두순(趙斗淳)·이유원(李裕元)·김병학(金炳學)·이의현(李宜賢) 등 당시 정계의 중심인물들과 정치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전군환삼정책(田軍還三政策)」에서는 전부(田賦)·군정(軍政)·환곡(還穀)의 삼정을 구분한 의의를 설명하고, 이것이 문란하여 백성들이 국가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탕평실명(蕩平室銘)」에서는 붕당의 권력 암투를 경계하고, 정치·종교·문화 등 각 분야에서 화합과 순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을 역설하였다. 그밖에 「서경암이공재목포호설후(書敬庵李公在穆暴虎說後)」는 이재목이라는 사람이 호랑이를 잡은 일의 전말을 기록한 것으로, 문장이 특이하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