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본풀이 (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전상'의 근원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
내용 요약

「삼공본풀이」는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전상'의 근원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이다. 「삼공본풀이」 구연이 중심이 되는 제차를 가리키기도 한다. 타고난 복으로 잘 살았다는 가믄장아기의 내력담을 통해 나쁜 전상을 제거하고 좋은 전상이 오기를 기원하는 무가이자 의례이다. 잘 알려져 있는 「내 복에 산다는 딸」 유형의 설화와 내용이 비슷해서 그 서사적 상관 관계가 주목되어 왔다.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굿에서 '전상'의 근원을 풀이할 때 부르는 서사무가.
내용

옛날에 한 사내 거지가 윗마을에 살고, 그 아랫마을에는 여자 거지가 살았다. 두 거지는 얻어먹으러 가다가 길에서 만나 부부가 되었다. 거지 부부는 얼마 있다가 딸을 낳았다. 딸의 이름을 은장아기라 지었다. 거지 부부의 살림은 조금 나아지고, 다시 딸을 낳았다. 둘째 딸의 이름을 놋장아기라 지었다. 다시 막내딸을 낳고 가믄장아기라 이름을 지었다.

그 후 하는 일마다 운이 트여 거지 부부는 큰 부자가 되었다. 태평한 생활을 하던 어느 날, 거지 부부는 누구 덕에 잘 사는지 딸들에게 물었다. 큰딸과 둘째 딸은 부모님 덕에 잘산다고 했지만, 막내딸 가믄장아기는 “부모님 덕도 있지만, 내 배꼽 밑의 주1 덕에 잘산다.”라고 대답하였다.

부부는 가믄장아기를 집에서 내쫓았다. 부모의 말에 따라 가믄장아기가 집에서 떠나자, 부부는 큰딸에게 나가 보라 하였다. 가믄장아기를 쫓아간 큰딸은 동생을 만나서는 어서 가라고 재촉했다. 가믄장아기는 큰딸이 지네로 변할 것이라고 예언했고, 과연 큰딸은 지네로 변하고 말았다. 부부는 둘째 딸에게도 나가 보라 하였다. 둘째 딸도 가믄장아기를 쫓아가 어서 가라고 재촉했는데, 가믄장아기의 말대로 말똥버섯이 되고 주2 가믄장아기를 내쫓은 부부 역시 눈이 멀더니 재산을 탕진하고 다시 거지가 되었다.

한편 집에서 쫓겨난 가믄장아기는 들판을 가다가 마를 파는 마퉁이 삼 형제를 만나 그들의 집에 유숙하게 되었다. 마퉁이 삼 형제의 행실을 보니, 큰마퉁이와 둘째 마퉁이는 사납고 막내 마퉁이는 착했다. 가믄장아기는 막내 마퉁이와 부부가 되어 마를 파 먹고 사는데, 마를 파던 구덩이에서 금덩이와 은덩이가 쏟아져 나와 단번에 큰 부자가 되었다.

가믄장아기는 부모를 찾으려고 거지들을 위한 잔치를 연다. 맨 마지막 날에 눈이 먼 거지 부부가 찾아 들어왔다. 그 거지 부부가 자신의 부모라는 것을 안 가믄장아기는 장님 거지 부부를 안방으로 모셔 앉히고 술을 권하며 자기가 가믄장아기임을 알렸다. 부부는 그 말에 깜짝 놀라며 받아 든 술잔을 덜렁 떨어뜨렸고 그 순간 눈이 밝아졌다.

특징

고귀한 여인이 집에서 쫓겨나 가난한 남자와 결혼했는데, 그 남자가 살던 곳이나 일하던 곳에서 금덩이가 나와 큰 부자가 되었다는 삽화는 「서동설화(薯童說話)」의 선화공주와 서동 이야기와 유사하며, 또 자신의 운복 때문에 잘 산다는 내용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 내 복에 산다는 딸」 유형의 민담과 흡사하다. 또, 거지들을 위한 잔치를 열어 부모와 상봉하고 부모가 눈을 뜬다는 삽화는 「 심청전」의 결말과 겹친다. 다른 갈래의 서사 문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주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본풀이에서 그 근원이 풀이되고 있는 '전상'은 ‘전생 인연’의 준말로 ‘전생(前生)’의 음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는 추정도 있으나, 그 어원과 의미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다. 일상 용어로는 평상시와 달리 술을 마구 먹거나, 해괴한 짓을 하여 일을 망치거나 가산을 탕진할 때 그 행위를 ‘전상’이라 한다. 그래서 도둑질을 하여 몇 번이고 감옥에 출입해도 도둑질할 마음이 일어나고, 노름을 시작하면 가산이 탕진되어도 그만둘 수 없는 것과 같은 것 모두 ‘전상’ 때문이며, 농업 · 공업 · 상업 등 어떤 직업에 집착하고 몰두하는 것까지도 ‘전상’ 때문이라 해석하고 있다. 긍정적인 의미의 전상도 있는데, 뜻하지 않게 얻은 재물이나 행운도 전상이라고 한다. 의지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타고난 화복이나 운명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삼공본풀이」를 구연하는 목적은 나쁜 전상을 제거하고 좋은 전상이 오도록 기원하는 데 있다.

부녀 관계의 전범이나 여성의 주체성 등을 엿볼 수 있는 신화로 그 의미가 활발하게 재해석되고 있기도 하다.

참고문헌

원전

현용준, 『(개정판)제주도무속자료사전』(각, 2007)

논문

신동흔, 「구비문학에 나타난 부녀관계의 원형 ―‘집 나가는 딸' 유형의 설화를 중심으로―」(『구비문학연구』 28, 한국구비문학회, 2009)
현승환, 「삼공본풀이의 형성과정 연구」(『제주도언어민속논총』, 제주문화, 1992)
황인덕, 「<내복에 먹고 산다>형 민담과 <삼공본풀이> 무가의 상관성」( 『어문연구』 18, 어문연구회, 1988)
주석
주1

배꼽에서부터 음부 쪽으로 내리그어진 선.

주2

은장아기와 놋장아기가 무엇으로 변했는지는 채록본에 따라 다르다. 대개는 벌레로 변했다고 하고, 구렁이로 변했다는 채록본도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