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 삼기 소리

목차
관련 정보
고성농요 / 삼삼기노래
고성농요 / 삼삼기노래
국악
작품
노동요의 일종으로 부녀자들이 삼을 삼을 때 부르는 소리.
이칭
이칭
삼삼는 노래, 중치노래, 잠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노동요의 일종으로 부녀자들이 삼을 삼을 때 부르는 소리.
내용

일명 「삼삼는 노래」라고도 하며 「중치노래」라고도 한다. 노래의 내용이 주로 밤을 새워 삼일을 할 때 잠을 쫓는 것으로 되어 있어, 지역에 따라서는 「잠노래」라고도 한다.

또한, 대부분의 「삼삼기소리」는 부녀자들의 고된 노동과 시집살이, 시부모와의 갈등 등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설면에서 「시집살이노래」의 내용과 중첩되는 예가 많다.

노래는 여타의 부녀요와 마찬가지로 느린 자유리듬에 낭송조의 선율로 노래하는 것이 보통인데, 대개는 그 지역의 「밭매기소리」나「모심기소리」가락을 차용한다.

「삼삼기노래」는 삼삼기가 행해지던 남부지방일대에 고루 퍼져 있으며, 특히 경상도지역에서 성행하였다. 경상도 지역에서 조사된 「삼삼기소리」 사설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잠아잠아 오지마라 자부다가 혼란본다.

혼란이사 보지마는 오는잠을 어쩌란고

메늘아기 자분다고 시어머니 송사가네

송사가도 어렵잖소 성방도 내오래비 이방도 내오래비

기동통인 간재통인 통인한쌍 요내조카

좌수영감 요내삼촌 문간사령 청안사력 사령한쌍 요내종놈

병일레라 병일레라 사또하나 병일레라

송사가든 사흘만에 썩문 삼천도 맞았다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음악-경상남도민요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한국민요집』(임동권, 집문당, 1975∼1981)
『한국구비문학선집』(한국구비문학회, 일주각, 197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