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문년도 ()

목차
관련 정보
삼인문년도(장승업 작)
삼인문년도(장승업 작)
회화
작품
조선 말기의 화가 장승업(張承業)이 그린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내용 요약

삼인문년도는 조선 말기의 화가 장승업이 그린 고사인물화이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화제로 삼은 ‘삼인문년’의 고사는 소동파가 지은 『동파지림』에 나온다. 세 명의 신선이 나이가 많음을 자랑하는 이야기이다. 그림은 신선들을 배경으로 바다와 반도를 표현하였다. 동굴 입구를 그려 신선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장승업의 호인 ‘오원’이라는 관서가 있다. 이 고사의 그림은 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19세기 후반에 유행하였다. 이 작품은 세련된 필치가 돋보이며 강렬한 채색으로 신비스러운 느낌을 준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화가 장승업(張承業)이 그린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개설

장승업이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152㎝, 가로 69㎝이며,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화면 왼쪽 상단에 19세기에 고관을 지낸 김가진(金嘉鎭)이 그림을 보고 “삼인문년도동농관(三人問年圖東農觀)”이라 써놓아 제목을 알 수 있다.

화면 위쪽에 1914년 안중식(安中植)이 쓴 제사(題辭)에서 ‘이 작품이 장승업의 중년작(中年作)이며, 그의 작품 가운데서도 보배이고 죽은 지 18년이 되었다’고 하여 작품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 오른쪽 아래에는 ‘오원(吾園)’ 이라는 관서(款署)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장승업의 「삼인문년도(三人問年圖)」가 한 점 더 있는데, 구도는 약간 다르나 비슷한 화경(畵境)을 보여 준다.

내용

장승업이 화제로 삼은 ‘삼인문년(三人問年)’의 고사는 『동파지림(東坡志林)』에 나온다. 세 명의 신선이 하나같이 비현실적인 비유를 들어 나이 자랑을 하는 이야기이다. 한 신선은 소년 시절 태고의 전설적인 천자(天子)인 반고(盤古)와 알고 지냈다고 하고, 다른 신선은 벽해(碧海)가 변하여 쌍전(桑田)이 되는 것을 볼 때마다 산가지를 하나씩 놓았는데, 그 산가지가 이미 열 칸 집을 다 채웠다고 했다.

또 한 신선은 반도(蟠桃)를 먹을 때마다 그 씨를 곤륜산(崑崙山) 아래 버렸는데, 그 높이가 이미 곤륜산과 같아졌다고 하면서 자신이 가장 나이가 많다고 주장하였다. 장승업은 그 내용을 형상화하여 화면을 채웠는데, 기이한 바위와 나무가 둘러싼 산자락에 세 노인이 서서 모두 손가락으로 바다를 가리키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 고사의 그림은 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19세기 후반에 유행하였다. 세 노인들의 대화의 배경으로 바다와 반도를 표현하였고, 동굴입구를 그려 신선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장승업은 중국 상해에서 1885년 발간된 마도(馬濤)의 화보 『시중화(詩中畫)』의 구도를 참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 노인의 모습과 구도는 화보 『시중화(詩中畵)』에서 취했으나 갈고랑이처럼 날카롭게 휘어지는 옷 주름선, 옹이가 많은 나무줄기, 주1을 구사한 보석 같은 바위 표현 등에서 장승업의 원숙기 화풍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래쪽 규각이 심한 바위의 묘사는 1890년, 즉 장승업의 나이 48세 때 그린 간송미술관 소장 『산수영모십첩병풍(山水翎毛十疊屛風)』 중 「송풍유수도(松風流水圖)」와 흡사하여 비슷한 시기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받게 되는 강렬하고 신비스러운 느낌은 세련된 필치와 채색에서 기인한다. 즉 전반적인 청록산수(靑綠山水)에다 인물의 비현실적인 모습, 모든 대상을 묘사한 명확하면서도 긴장된 주2가 화면에 응축된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점은 특히 위쪽 일렁이는 파도에서 두드러진다. 세필(細筆)에 의한 장식적 주3이나 역동하는 힘이 느껴진다.

이 작품 전체에서 흐르고 있는 것은 장승업이 본능적으로 깨달은 자연과 인생의 생동하는 실체로서 당시 사람은 이를 가리켜 ‘신운(神韻)이 생동한다’고 하였다. 이런 점은 인물들의 신비스러운 미소에서도 나타난다. 신선도에 있어서 이런 초월적 미소는 김홍도(金弘道) 이래로 잊혀져 온 것이다. 장승업은 김홍도의 신선도의 정신을 이어받았다고 할 수 있다. 또 실제로 장승업의 바람에 날리는 듯한 옷주름 표현에 김홍도의 영향이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일사유사(逸士遺事)』(장지연, 회동서관, 1922)
「오원철사(吾園轍事)」(김용준, 『근원수필』, 을유문화사, 1948)
『오원장승업(吾園張承業)의 예술과 인간』(박로수, 공간, 1970.3.)
『간송문화 53 -오원 장승업-』(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97)
「오원장승업(吾園張承業)-그의 근대적조명-」(이경성, 『윤송문화』 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75)
『일사유사』(장지연, 회동서관, 1922)
『간송문화(澗松文華) 53-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97)
「장승업의 고사인물화」(박은화, 『정신문화연구』8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오원장승업 -그의 근대적조명-」(이경성, 『간송문화』 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75)
「오원장승업의 예술과 인간」(박노수, 『공간』, 공간사, 1970. 3.)
「오원철사」(김용준, 『근원수필』, 을유문화사, 1948)
주석
주1

산수화 준법의 하나. 도끼로 나무를 찍었을 때 생긴 면처럼, 수직의 단층이 부서진 나무의 결이나 바위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중국 남송의 이당이 완성하고 마하파(馬夏派)가 주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2

선(線)으로만 그림. 또는 그런 그림. 우리말샘

주3

중국 궁중의 화원(畫院)에서 발달한 독특한 양식의 그림. 사실적이고 정교하며 정통적인 격과 법을 존중하였고 장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당나라에서 비롯하여 청나라까지 이어졌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