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양묘수호절목 ()

목차
관련 정보
삼척양묘수호절목
삼척양묘수호절목
조선시대사
문헌
대한제국기 장례원 소경 이중하가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조선 태조의 6대조인 목조의 생부모의 묘를 관리하는 데 대한 규정을 수록한 법제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장례원 소경 이중하가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조선 태조의 6대조인 목조의 생부모의 묘를 관리하는 데 대한 규정을 수록한 법제서.
내용

1책. 필사본. 1899년에 장례원(掌禮院) 소경(小卿) 이중하(李重夏)가 고종의 명을 받들어 편찬하였다.

삼척의 양묘는 오랫동안 수축하지 않아서 묘의 형태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되었으므로, 1899년 고종이 이중하를 보내어 수축하고 목조의 아버지의 묘를 준경묘(濬慶墓), 어머니 묘를 영경묘(永慶墓)라 명명하였는데, 이 책은 이때 마련된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수호절목(守護節目)」·「제향(祭享)」·「수향(受享)」·「화소금표(火巢禁標)」·「위토(位土)」·「지방식례(支放式例)」·「수호군(守護軍)」으로 되어 있다.

「수호절목」은 총 19개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양묘수호의 책임소재, 지방관과 입직관(入直官)의 봉심(奉審), 재관(齋官), 수직원역(守直員役)의 임무 및 임면, 식목·사초(莎草 : 오래되거나 허물어진 산소에 떼를 입히어 잘 가다듬는 일)·벌초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지방식례」에서는 양묘의 수조(收租) 총액을 기록하고 이어 그것의 용도를 밝혀 놓았다. 그밖에 제향·제수·위토운영·수호군 등에 대해 전반적인 규정을 수록하였다. 거의 같은 내용의 두 가지 책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