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포화력발전소 ()

목차
관련 정보
삼천포화력발전소
삼천포화력발전소
산업
지명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에 있는 시설용량 112만㎾의 유연탄전소 화력발전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에 있는 시설용량 112만㎾의 유연탄전소 화력발전소.
내용

총 48만평 부지에 국내 화력발전소 중 최대 단위기용량인 56만㎾급 기력발전설비 2기와 50만㎾급 표준석탄화력 2기를 보유하고 있다.

제4차전원개발5개년계획(1977∼1981)에 의거 석유의존전원정책에서 벗어나 발전연료 다원화 구축의 일환으로 건설된 국내 최초의 유연탄 전소 발전소이며, 주연료인 유연탄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로부터 전량 수입되며,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계약이 체결되어 있다.

건설사업은 국내 주도형 일괄도급계약방식으로 추진되었으며, 주요기자재도 외국 제작사와의 기술제휴 및 보증조건으로 국내 도급계약자가 일괄 공급하여, 국산화율 53.3%의 달성을 도모하는 등 국내 기술축적에 크게 기여하였다.

주기기는 주계약자인 한국중공업주식회사가 미국의 제작사를 하도급 업체로 하여 창원공장에서 제작하였고, 시공은 한라건설주식회사가 담당하였다.

1978년 10월 25일 건설공사의 착공 이후 정부의 발전설비 제작업체 통합 및 일원화 조치로 주계약자가 현대양행에서 현대중공업주식회사로, 다시 한국중공업주식회사로 바뀌게 되어 기자재 공급상 어려움이 많았으나 1983년 8월 16일 제1호기가, 1984년 2월 28일 제2호기가 각각 준공되었다. 연인원 180여 만명, 총건설비 4,640억 원이 투입되었다.

발전소의 주요기기는 대부분 컴퓨터 및 폐회로 감시장치 등 현대식 계측제어 설비에 의하여 자동운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부속설비로는 10만t급과 5만t급 유연탄 수송선박 2척이 동시 접안할 수 있는 전용부두와 80만t 저장능력의 저탄장 및 고성능 전기집진기, 해수오염 방지시설 등 공해방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국내 최대인 200m 높이의 사각 집합식 연돌의 아름다움과 웅장함은 이 발전소의 상징으로 되어 있다. 한편 국내 화력발전소 유일의 훈련용 모의발전장치를 갖춘 전문교육기관인 화력연수원을 설치, 운영하여 국내 화력발전소의 기술인력을 육성하고 있다.

이 발전소는 연간 약 69억㎾h의 전력을 생산하여, 인근 창원 및 여천공업단지에 안정되게 공급함은 물론, 국내 전력계통의 안정성 유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연간 250여 만t의 유연탄을 소화하여 1,500억 원에 달하는 유류대체 연료비 절감효과를 내고 있다.

3·4호기는 1·2호기와 동일한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제작 및 기술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선 설비개선을 반영하여 건설되었다. 주요설비개선 사항으로는 345㎸ Switch Yard GIS화, 자동제어설비의 현대화 그리고 발수처리설비, 복수탕황설비, 비회포집설비의 개선과 보일러설비를 일부 개선하였다.

5·6호기는 500㎿급 2기 총설비용량 1,000㎿로 보령3·4호기 관리체계를 준용하여 표준석탄화력으로 건설되었다. 표준석탄화력은 초임계압, 관류형, 1단 재열식, 평형통풍식, 반옥외형이며 저유황유연탄 전소로 일일기동정지 및 빈번한 부하변동 및 기동정지시 저부하 운전용 초임계암 관류보일러로 설계되었다. 한국남동발전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2019년 10월 1일부터 삼천포화력발전소 5, 6호기 가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한국전력20년사』(한국전력공사, 1981)
『전기연감』(대한전기협회, 1983)
『삼천포화력발전소건설지』(한국전력공사, 198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