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일 ()

목차
관련 정보
뱀부적
뱀부적
민속·인류
개념
음력 정월의 첫 사일(巳日)을 가리키는 세시풍속.
목차
정의
음력 정월의 첫 사일(巳日)을 가리키는 세시풍속.
내용

정초 십이지일(十二支日)의 하나로 ‘첫 뱀날’이라고도 부른다. 이날은 남녀 모두 머리를 빗거나 깎지 않는다. 만일에 머리를 빗거나 깎으면 그 해 뱀이 집안에 들어와 화를 입게 된다고 한다. 『동국세시기』에도 이러한 기록이 보여서 이것이 오랜 풍속임을 알 수가 있다.

또, 이날은 빨래를 하지 않고 바느질도 하지 않으며, 땔나무를 옮기거나 집안에 들여놓지 않는데, 이는 뱀이 들어오는 것을 두려워해서였다. 그런데 전라남도지방에서는 상사일에 뱀의 침입을 예방하는 뜻에서 뱀 입춘문(立春文)을 써 붙인다. 옛날에 뱀을 잘 잡았다는 적제자(赤帝子)나 패왕검(覇王劍)·항우검(項羽劍) 등의 이름을 써 붙이기도 하였으며, 길다란 주문을 써서 붙이기도 하였는데, 입춘문의 주력(呪力)으로 뱀의 침입을 막자는 뜻에서였다.

또, 뱀 구멍에 연기를 불어넣는 ‘뱀지지기’를 한다. 긴 나무 끝에 머리카락이나 솜뭉치를 달아매고 불을 붙여 뱀 구멍에 대면, 그 연기가 구멍으로 들어가서 뱀이 나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제주도에서는 ‘사일불원행(巳日不遠行)’이라고 해서 먼길을 떠나지 않으며, 전라남도에서는 일을 않고 머리를 빗지 않으며 물을 긷지 않는다. 물을 안 긷는 까닭은 샘에 뱀이 나타나는 것을 꺼려서이다. 대개 그 전날 물을 길어둔다. 또한, 옷을 다루거나 땔나무 등을 옮기면 여름에 이러한 곳에 뱀이 나타난다고 하여 이와 같은 금기를 지키고 있다.

경상남도에서는 이날 곡식을 볶아 먹고 장을 담그지 않으며 뱀지지기도 한다. 뱀지지기는 ‘뱀친다’, ‘뱀 끄신다’, ‘진대 꺼낸다’, ‘새끼 끄슬어 버린다’, ‘뱀지지’라고도 하는데, 이날 아침에 막대 끝에 매어 단 한발쯤 되는 새끼줄 몇 군데를 그을려 오줌통에 담그었다가 꺼낸 뒤 한 사람이 끌고 다니면, 다른 사람이 뒤따라가면서 막대로 새끼줄 끝을 때리면서 ‘뱀끄낸다.’ 또는 ‘뱀치자, 뱀치자.’ 하면서 끌고 다닌다.

부엌에서 나와 앞마당과 뒤뜰을 돌아 대문을 나서 집 주위 도랑이나 시냇물에 버린다. 머리카락을 태우고 오줌 속에 담그는 것은 이런 냄새를 뱀이 싫어하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뱀에게 많은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시풍속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남국(南國)의 민속』(진성기, 교학사, 197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편·경남편-』(문화재관리국, 1969·197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임동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