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강의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서형수 등이 제22대 왕 정조의 경연에서 조신(朝臣)들과 문답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경연록.
이칭
이칭
어제서전조문(御製書傳條問), 상서강의조문(尙書講義條問), 서경강의(書經講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서형수 등이 제22대 왕 정조의 경연에서 조신(朝臣)들과 문답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경연록.
내용

불분권 1책(53장).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역시 정조명찬(正祖命撰)인 『경사강의(經史講義)』 중 일부로서 『어제서전조문(御製書傳條問)』·『상서강의조문(尙書講義條問)』·『서경강의(書經講義)』 등 여러 명칭의 이본이 있는데, 수록내용이 비슷하다.

「총론(總論)」에 1조, 「우서(虞書)」에 41조, 「하서(夏書)」에 20조, 「상서(商書)」에 23조, 「주서(周書)」에 65조 등 도합 150조의 문답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중국 역대 주석가들의 학설과 이론이 다름을 들어 논하고, 고문상서(古文尙書)와 금문상서(今文尙書)의 차이점과 산서(刪書)·전부구등지제(田賦九等之制) 등에 대한 의문을 말하고 있다.

뒤에 정약용(丁若鏞)이 고문상서(古文尙書)에 대한 의문점을 『매씨상서평(梅氏尙書平)』에서 밝힌 바 있는데, 이는 정조가 당시 의문을 제기하였던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