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어

목차
관련 정보
상어
상어
동물
생물
상어목에 속하는 어류의 총칭.
목차
정의
상어목에 속하는 어류의 총칭.
내용

옛 문헌에 따르면 상어류는 한자어로는 보통 사어(鯊魚) 또는 사(鯊, 魦)가 쓰였고, 사어(沙魚)나 교어(鮫魚)도 쓰였다.

작어(䱜魚)·복어(鰒魚)·치어(淄魚)·정액(挺額)·하백(河伯)·건아(健兒) 등의 별명도 있었다. 오늘날 상어가 표준어이고, 방언에 사애·사어·상에 등이 있다.

우리 나라 해역에는 괭이상어·칠성상어·수염상어·고래상어·강남상어·악상어·환도상어·두툽상어·까치상어·흉상어·귀상어·돔발상어·톱상어·전자리상어 등 13과 36종이 알려져 있다.

상어류는 연골어류로서 내부골격이 연골성이고, 부레가 없으며 창자 안에 나사 모양의 판막이 있다. 판새류로서 순린(楯鱗)을 가지며 5∼7쌍의 아가미구멍이 있고 아가미뚜껑은 없다.

가오리류와는 달리 아가미구멍[外鰓孔]은 적어도 그 일부는 머리의 옆면에 열리며, 가슴지느러미는 변형되지 않았고 몸과의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있고, 등지느러미는 잘 발달하였다.

우리 나라산 상어류는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지만, 몸길이가 고래상어와 같이 20m가 되는 것이 있는가 하면, 두툽상어와 같이 15㎝가 되는 것도 있으며, 주로 남해(제주도 포함)에 분포한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사어는 경기도(1고을)·충청도(9고을)·경상도(16고을)·전라도(2고을)·황해도(1고을)·평안도(16고을)의 총 45고을, 점찰어(占察魚:전자리상어)는 경상도의 3고을, 쌍어(雙魚:귀상어)는 함경도(명천)의 1고을의 토산물이었다.

≪재물보 才物譜≫에는 교어(鮫魚)를 “눈은 푸르고 빰은 붉으며, 등 위에는 갈기가 있고 배 아래에는 날개가 있으며, 꼬리의 길이는 수 척이 되고, 피부는 모두 진주와 같은 모래를 가지며 얼룩지다.”라 기재하고, 교어의 별명을 든 다음 녹사(鹿沙:별상어)·호사(虎沙)·거사(鋸沙:톱상어)를 극히 간단하게 기재하였다. ≪물명고 物名考≫에는 교어에 관하여 종류에 출입사(出入沙)를 첨가하였을 뿐 ≪재물보≫와 똑같이 기록하였다.

≪자산어보 玆山魚譜≫에서는 사어의 특징을 쓰고 호사(膏鯊:속명 其廩鯊, 오늘날의 곱상어)·진사(眞鯊:속명 參鯊, 오늘날의 별상어)·해사(蟹鯊:속명 揭鯊)·죽사(竹鯊:오늘날의 까치상어)·치사(癡鯊:속명 非勤鯊, 오늘날의 복상어)·왜사(矮鯊:속명 全淡鯊)·병치사(騈齒鯊:속명 愛樂鯊)·철좌사(鐵剉鯊:속명 茁鯊, 오늘날의 톱상어)·효사(驍鯊:속명 毛突鯊)·산사(鏟鯊:속명 諸子鯊)·노각사(艫閣鯊:속명 귀안상어, 오늘날의 귀상어)·사치사(四齒鯊:속명 丹徒令鯊)·도미사(刀尾鯊:속명 環刀鯊, 오늘날의 환도상어)·극치사(戟齒鯊:속명 世雨鯊)·기미사(箕尾鯊:속명 耐安鯊 또는 豚蘇兒) 등 15가지 상어류를 기재하였다.

이것들 외에도 은사(銀鯊)·철갑장군(鐵甲將軍)·금린사(錦鱗鯊)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들은 상어류가 아니다. 상어의 특징은 “대체로 물고기 중에서 알을 낳는 것들은 암수의 교배 없이 수컷이 먼저 흰 액을 쏟고, 암컷이 알을 이 액에 낳으면 알이 변화해서 새끼가 된다.

그런데 유독 상어는 태생(胎生)을 하며 잉태하는 데 일정한 시기가 없다. 이것은 물속 동물의 특례이다.”라고 하면서, 태생을 강조하였다.

각 종의 기재 중에는 맛과 약효도 기록하였다. ≪전어지 佃漁志≫의 어명고에서는 사어에 관한 이명들을 소개하면서, ≪양항잡록 兩航雜錄≫에 해사(海鯊) 24종이 열거되었음을 소개하였다.

또, 우리 나라산에 무려 10여 종이 있다고 하면서 “대체로 바다상어류는 모두 태생을 하며, 그 새끼는 어미의 뱃속에 드나든다.”라고 하였다.

또한, 상어를 잡는 법[捕鯊魚法]도 기록되어 있어 “6월부터 10월까지 제주도 앞바다의 물이 깊은 곳에서 어민들은 배를 타고 낚시를 던져 상어를 잡는다.

낚싯줄 길이는 백사오십 발이 된다. 줄 끝에 2개의 낚시를 매달고 낚시 위 2자쯤 되는 곳에 크기가 박과 같은 둥근 돌을 얽어맨다. 고등어 또는 망어(芒魚)를 미끼로 한다.”라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상어가 태생을 하며, 상어가 변하여 호랑이가 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동의보감≫에는 물고기를 먹고 중독되었을 때 상어 껍질을 태워서 얻은 재를 물에 타서 먹는다고 ≪본초강목 本草綱目≫에서 인용하였고, ≪규합총서 閨閤叢書≫의 쳥낭결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옛날에는 상어를 오늘날과 같이 식용으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피(鮫皮)라 하여 가죽 말린 것은 칼자루에 감기도 하고, 물건을 닦는 데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물명고』(류희, 한국사상연구소, 1972)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자산어보』(정약전, 정문기 역, 지식산업사, 1977)
『재물보』(리만영, 아세아문화사, 1980)
『동국여지승람』(노사신, 명문당, 1981)
『동물분류학』(김훈수·이창언·노분조, 집현사, 1982)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 명문당, 1982)
「전어지(佃漁志)」(서유구, 『임원경제지』 2, 보경문화사, 1983)
『규각총서』(빙허각리씨, 정량완 역주, 보진재, 1984)
『동의보감』(허준, 남산당,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훈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