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평창 상원사 동종
평창 상원사 동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鍾)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범종.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167㎝, 입지름 91㎝. 용뉴 좌우에 오목새김된 명문에 의해 이 종이 725년(성덕왕 24)에 주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어떠한 목적으로 주성되어 어느 절에 보관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안동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루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예종 1) 국명(國命)에 의하여 현 위치로 옮겨 보관해 오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종구(鐘口) 일부에 작은 균열이 생겨 수리를 거친 뒤 모작품(模作品)을 만들어 사용하고, 이 종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내용

종의 정상에는 용뉴(龍鈕)와 용통(甬筒)이 있다. 용은 머리 부분이 크고 몸체가 용통에 붙어 있으며 발은 정상에 버티고 있다. 용통의 표면은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을 두었으며, 그 사이에는 연화문과 당초문으로 장식하였다.

상대(上帶)와 하대(下帶)는 모두 아래위로 연주문대(連珠文帶)를 돌리고 유려한 당초문으로 장식되었으며, 드문드문 한 사람 내지 네 사람의 주악상(奏樂像)이 돋을새김된 반원권(半圓圈)을 돌렸다. 네 곳에 배치된 유곽(乳廓)은 당초문으로 장식되었고, 그 안에 연화로 돋을새김된 9개의 유두(乳頭)가 배치되어 있다.

종신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곳에 구름 위에 서서 무릎을 세우고 하늘을 날며, 공후(箜篌)와 생(笙)을 주악하는 비천상(飛天像)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또 그 사이의 서로 마주보는 두 곳에 자방(子房)을 중심으로 8판연화(八瓣蓮華)를 돌리고 바깥 원의 안팎에 연주문을 돌렸으며 그 안에 당초문을 새긴 당좌가 있다.

종신은 상·하단이 모두 배가 부르고 종의 표면에 많은 공간이 있어 상하의 당초문대와도 조화를 이루며, 용통이나 유곽 등은 한국 종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종이다.

참고문헌

『국보』5 공예(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5)
『한국의 미』23 금속공예(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5)
『한국종연구』(염영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오대산 상원사 동종의 반이사실」(황수영, 『역사학보』16, 역사학회,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