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인의 모반 ()

목차
고려시대사
사건
1228년(고종 15) 무신정권에 대한 불만으로 서경인들이 모반한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228년(고종 15) 무신정권에 대한 불만으로 서경인들이 모반한 사건.
내용

서경은 고려 태조 이래 개경과 비슷한 비중으로 중시되었는데, 인종 때의 묘청(妙淸)의 난과 무신집권 초기의 조위총(趙位寵)의 난 이후 서경의 위치는 개경에 비하여 급격히 약화되었다.

이 무렵 회음진(懷音謓) 별장(別將)이 서경에 모반자가 있다고 고발하므로 병마사가 수색하였으나 잡지 못하고 고해 바친 자를 서울로 압송하였다. 그러나 1228년회음진의 도령(都領) 희간(希幹)이 그 모반자를 잡아 고발하였다.

이 모반사건은 그 기록이 자세하지 않아 그 규모를 알 수 없으나, 그 해 청새진(淸塞鎭 : 熙川郡)의 호장(戶長)이 반란을 일으키려다가 병마사 채송년(蔡松年)에게 잡혀 죽은 사실 등을 보면, 서경인의 모반도 외적의 침입으로 사회가 혼란한 틈을 타고 일어난 무신정권에 대한 서북인의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서경에 모반자가 있다는 고발이 있자 당시의 집권자 최우(崔瑀)는 서북계의 민심을 수습하기 위하여 고발자에게 금의(錦衣)ㆍ금대(金帶)ㆍ양마(良馬)와 능라견(綾羅絹) 50필, 명주와 모시 각 10필, 쌀 30석을 상으로 주고, 또 왕에게 아뢰어 구마(廐馬) 1필, 능라견 40필, 명주 100필, 베 200필을 상으로 주고, 희간에게는 채백(綵帛) 40필과 구마 1필을 하사하였는데, 이로 보아 조정에서는 서북인들의 동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몽고의 침입으로 서북인의 반란은 없어졌지만, 결국 1270년 몽고가 서경에 동녕부(東寧府)를 설치한 것도 조정에 대한 서경인의 반발이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고 보여진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