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청 남산도서관 (서울 )

목차
관련 정보
서울특별시립 남산도서관
서울특별시립 남산도서관
단체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후암동 30-84)에 있는 공공도서관.
이칭
이칭
남산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후암동 30-84)에 있는 공공도서관.
내용

1922년 7월 1일 경성부 고시(告示) 제19호로 「경성부립도서관 규정」을 제정하고, 같은 해 10월 5일 명동2가 소재 구한성병원을 개수하여 경성부립도서관으로 설립하였는데, 이 도서관이 오늘날 서울특별시립남산도서관의 전신이다.

그 뒤 1926년 5월 이 도서관은 소공동의 대관정(大觀亭) 건물로 이전하였으며, 이듬해 6월 3층 건물로서 열람석 500석의 신관을 건축하였다.

일제의 위장된 문화정책의 산물로 태어난 경성부립도서관은 식민지의 교화(敎化)라는 통치목적을 위한 도구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우리의 손으로 만든 우리 민족을 위한 공공도서관으로서 새로운 출발을 하였다.

1946년 9월 28일 군정법령(軍政法令) 제106호에 의거, 경성부를 서울시로 개칭함과 동시에 이 도서관도 서울시립남대문도서관으로 개칭하였으며, 1949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승격에 따라 서울특별시립남대문도서관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1963년 11월 24일 서울특별시의 이전계획에 따라 용산구 후암동 남산공원 내에 대지 1만3292㎡, 건평 9,362㎡의 신건물을 건립하고, 1964년 1월 1일 교육자치제 부활로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로 이관되어 1965년 1월 27일 개관, 1965년 2월 13일 서울특별시립남산도서관으로 개칭되었다.

「서울특별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가 개정되어 2017년 2월 서울특별시립남산도서관은 서울특별시교육청남산도서관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부터 자료이용의 극대화와 독서인구 저변확대를 위하여 폐가제로 운영하던 자료이용방법을 완전개가제로 전환하였고, 1995년부터 전 장서의 관외대출, 1997년 자료 검색 및 대출의 전산화 과정을 거쳐 현재 3실의 주제별 열람실(인문사회과학실, 어문학실, 자연과학·교원자료실)과 전자정보실, 정기간행물실, 취업정보·장애인자료실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전자정보실은 국가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PC통신 등의 서비스와 각종 멀티미디어자료, 주문형자료의 제공, 위성방송 제공 등으로 빠르게 변하는 정보사회에서 정보제공자로서의 도서관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시간적·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도서관 이용이 어려운 지역주민, 직장인, 군인들을 위하여 자동차에 책을 싣고 직접 찾아가 대출하여주는 이동도서관을 운영함으로써 시민의 교양함양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독서회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교실을 통하여 독서의 생활화와 도서관이용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백일장과 독후감상문쓰기 행사 등을 통해 독서인구의 저변확대 및 범시민 독서생활화를 위해 진력하고 있다. 학교도서실 운영을 지원함으로써 학교교육과 연계한 독서지도에도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사회교육 및 문화기관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기 위하여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기적인 강좌를 개설하고, 독서자료를 개발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주고 있으며, 경제적인 사정으로 작품발표의 기회를 가질 수 없는 무명작가들에게 무료로 전시공간을 제공해 주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자연스러운 문화접근과 정서순화를 위하여 상설문화전시실을 마련하여 사진전·미술전·서예전·시화전 등 각종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여가선용과 정서순화를 위하여 교양강좌 등의 각종 문화행사와 영화·슬라이드·비디오 상영 및 음악감상의 기회도 부여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각 자료실과 1,120석의 열람석, 서고, 99석의 시청각실, 식당·매점·휴게실·지정흡연실 등이 있다.

1976년 4월 한국도서관협회의 도서관상을 수상하였고, 1986년 12월 창의적 행정풍토확립시범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남산도서관60년사』(서울특별시립남산도서관 편,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