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해평리 석조 여래 좌상 ( )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보천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보천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1.32m. 이 불상은 발굴되어 현재 보천사의 본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얼굴과 신체에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모두 갖추고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 불상이다.

내용 및 특징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불상으로 불상, 원형의 광배, 팔각대좌가 거의 완형으로 남아있는 귀중한 예이다. 광배의 윗부분과 불상의 귀, 팔꿈치에는 일부 손상이 있으며, 특히 눈, 코, 입이 손상되어 변형된 점은 매우 안타깝다.

얼굴은 작은 편으로 굵은 소라모양의 머리칼[螺髮]이 표현된 머리는 높고 둥근 편이어서 정수리에 솟아있는 상투 모양[肉髻]과 구분되지 않는다. 옷은 양 어깨를 모두 감싼 통견식 옷을 입었으며, 대의(大衣) 안쪽으로 속옷을 입고 그 옷을 리본모양의 띠 매듭으로 묶었다. 손 모양은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부처의 성도(成道)시 땅속의 악귀를 물리친다는 의미를 지닌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으나, 아래로 쭉 뻗지 않고 무릎위에 살짝 올려놓은 형태이다.

대좌와 광배는 매우 화려하게 표현되어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광배 모두 2중의 원으로 표현되었는데 원 안에는 덩굴무늬가 있고, 머리광배의 중심부분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광배의 곳곳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으며 아래쪽에는 향로가 새겨져 있다. 가장자리에는 화려한 불꽃무늬가 광배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대좌는 상·중·하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윗부분에는 이중으로 겹친 연꽃잎 안에 반원형태로 활짝 핀 연꽃잎이 새겨져 있으며, 중간부분은 팔각으로 각 면마다 불상과 연꽃문, 비천상 등이 조각되어 있다. 대좌의 아랫부분은 두 개의 연꽃잎이 각 면마다 시문되어 있으며 모서리마다 귀꽃으로 장식되었다.

이 불상은 항마촉지인의 수인, 좁은 이마와 작은 입, 통견의 착의법과 가슴 좌우의 띠 매듭 등이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과 매우 유사하며 9세기 불상의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통일신라 시대의 전성기의 조각품인 석굴암 본존불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그보다 섬약해진 불상의 형태와 화려한 광배, 대좌의 모습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석굴암 본존불보다 약간 늦은 9세기의 불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Ⅰ-Ⅴ(경상북도, 2003)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진홍섭, 『고고미술』4, 한국미술사학회, 1963)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이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