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희궁터 (터)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선희궁터 전경
서울 선희궁터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이씨 관련 사당터. 사묘.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이씨 관련 사당터. 사묘.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이 터는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이씨의 사묘(祠廟)인 선희궁이 있던 자리로, 처음 의열묘였다가 정조가 왕위에 오른 뒤에 선희궁이라 개칭되었고, 육상궁에 모셨던 영빈의 신주를 1908년(융희 2)에 이곳으로 옮겼다. 1975년 5월 12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이곳은 영조의 후궁인 영빈이씨(暎嬪李氏)의 신위(神位)를 모시기 위하여 건립된 사묘의 자리이다. 사묘는 조선시대 왕비가 아닌 후궁에게서 태어난 왕이 그의 모친의 신위를 모신 사당을 말한다. 1764년(영조 40)에 영빈이씨가 죽고 이듬해 의열(義烈)이라는 시호에 추증되면서 사당의 명칭을 의열묘(義烈廟)라고 불렀다. 뒤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아들이며 영빈이씨의 손자인 정조가 왕위에 오른 다음, 1788년(정조 12)에 그 격을 높여서 선희궁이라 개칭되었다.

영조의 생모 숙빈최씨(淑嬪崔氏)의 사당인 육상궁(毓祥宮)으로 신주(神主)를 옮긴 해인 1870년(고종 7)에 폐지되었다가, 1896년에 다시 짓고 신주를 원래대로 옮겨 모셨다. 1906년에는 다시 신주를 육상궁으로 옮기고 나서 사묘를 폐지하였다. 그 뒤에 건물만이 온전하게 보존되고 주위 환경은 거의 변하였다. 이 터는 서울선희학교에서 개칭된 현재 서울농학교의 일부에 포함되어 있다.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翼工系) 맞배지붕건물로, 묘역 전체는 훼손되고 건물 주변 일부에 석물(石物)들이 남아 있으며, 건물 둘레에 보호 철책을 둘러쳐놓았다. 건물의 기단은 화강석을 고르게 다듬은 긴 댓돌을 3벌 포개어 쌓았고, 그 위에 네모난 주춧돌을 놓은 다음 네모기둥을 세웠다. 주춧돌 사이에도 환기 구멍을 뚫은 돌을 끼워 넣어서 기단 돌처럼 보이게 하였다.

기둥 사이에는 3면에 벽을 쌓고 앞면은 개방하였는데, 양측면은 바닥에서 박공(朴工: 경사 지붕 옆면에 붙인 널) 부분까지 벽돌로 쌓아올려 만들고, 뒷면은 바닥부터 벽의 중간까지만 벽돌로 쌓고 그 위에 ‘정(井)’자살 창을 칸마다 내었다.

박공 부분에는 용마루로부터 널빤지를 내려서 제사를 지내는 건축으로서 장엄한 인상을 풍기도록 고려하였다. 단청과 기와는 1975년에 보수하면서 새롭게 한 것이다.

참고문헌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김영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