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집 ()

성재집
성재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허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허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허훈(許薰)이 쓴 연보발문(年譜跋文)에 의하면 1903년에 허전의 문인 박치복(朴致馥)·이명구(李命九) 등이 편집하여 밀양의 풍뢰정(風雷亭)에서 간행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서지적 사항

44권 22책(원집 32권 16책, 속편 6권 3책, 부록 6권 3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원집의 권1은 시, 권2·3은 경연강의, 권4는 소·관각문(館閣門), 권5∼8은 서(書), 권9·10은 잡저, 권11∼13은 서(序), 권14·15는 기, 권16은 발, 권17은 잠·명·송·찬, 권18은 상량문·축문·제문·애사, 권19는 비문, 권20은 묘지명, 권21∼25는 묘갈명, 권26은 묘갈음기(墓碣陰記)·묘표, 권27∼30은 가장·행장·행록·유사·전(傳), 권31·32는 시장(諡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집의 권1은 시·소, 권2는 서(書), 권3은 잡저, 권4는 서(序)·기·발·명·전(箋), 권5는 상량문·축문·제문, 권6은 묘갈·행장·유사·전(傳)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의 권1은 세계(世系)·사훈(師訓), 권2는 연보·연보발문, 권3은 시장·유서(諭書)·사제문(賜祭文)·사림제문(士林祭文), 권4는 제문, 권5는 만장(輓章), 권6은 언행총록(言行總錄)·영남유생정흥선대원군장(嶺南儒生呈興宣大院君狀)·청개시주소(請改諡註疏)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경연강의」는 경연에서 임금에게 강의한 것으로, 주로 사서(四書)에 관한 것이 많다. 또한 「북양예부양아문자(北洋禮部兩衙門咨)」·「진주문(陳奏文)」 등은 갑신정변 직후 청나라와의 외교 교섭의 한 단면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서(書)는 대부분 제자들과 경전·예설에 관한 문답을 비롯해 성리학·정치·경제 등 다방면에 걸쳐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있어 저자의 폭넓은 학문의 저변을 엿보게 한다.

잡저 가운데 「삼정책(三政策)」은 실학파를 계승한 저자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글이다. 저자는 이 글에서 전정(田政)·군정(軍政)·환정(還政)의 시정책을 건의하였는데, 현실 파악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현성 있는 개혁안을 제시한 것이다.

속편의 소는 주로 선현들의 문묘 종사를 청하는 것으로, 김종직(金宗直)·김일손(金馹孫)·조식(曺植)·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유성룡(柳成龍)·정경세(鄭經世)·허목(許穆) 등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진언한 상소문이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