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맞이 (맞이)

목차
민간신앙
의례·행사
성주신에게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달라고 비는 무속의례.
목차
정의
성주신에게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달라고 비는 무속의례.
내용

이 굿은 가정을 단위로 하는 개인 제의여서 가족의 제액과 재수발원이 주목적이다. 그래서 강원도·충청도·전라도 지방에서는 재수를 비는 굿을 ‘성주굿’이라고 한다. 성주신에게 올리는 제의는 성주신을 봉안하는 ‘성주맞이’(또는 성주받이·성주풀이)와 재복을 비는 ‘성주굿’으로 대별된다. 이 밖에도 성주신에게 재복을 비는 ‘비손’·‘고사’ 등이 있으나 이것은 굿의 형식과 차이가 있다.

‘성주맞이’는 집을 새로 지었거나 새로 마련된 집에 ‘집임자 신(神)’으로 성주신을 모시는 굿이다. 그러나 집을 새로 마련하였다고 아무 때나 성주를 모실 수는 없고, 대주의 나이가 27·37·47·57·67 등과 같이 7의 수가 드는 해인 10월에 택일하여 하게 된다. 한편, 경상도 등지에서는 대주의 나이가 23·27·33·37·43·47과 같이 3과 7의 수가 되는 해인 10월에 택일해서 성주맞이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전국적으로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에 성주맞이를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성주맞이는 무당을 불러서 오후 늦게 시작하여 밤에 하는데, 그 의식절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경기지방의 경우 먼저 대청에다 굿상을 차려놓고 ‘주당살’을 가린 다음 부정거리·가망거리·말명거리·상산거리를 놀고 나서 성주신을 맞는 성주맞이로 들어간다.

이때는 무당이 홍철릭에 홍갓을 쓰고 생솔가지(약 100㎝ 내외 높이) 중등에 백지 1장을 잡아맨 ‘성주대’를 잡고 뜰에 나가 성주신을 맞아들여 놀리고 나서, 성주신의 좌정처를 그 대가 가리키게 되면 대에 매달았던 백지를 풀어 동전을 넣은 후 접어서 청수에 적셔 성주대가 가리킨 상량대 밑의 벽이나 양주(樑柱)의 상부에다 붙인다. 그 뒤 무당이 손으로 쌀을 한줌 집어 세 번 뿌리며 재복을 많이 점지해달라는 내용의 축원으로 “천석 만석 불려 줍소사”라고 한다.

이렇게 성주신을 받아 앉히고 나서 ‘황제풀이’를 구송하여 성주신이 집을 짓게 된 내력담을 고하게 되는데, 이때는 밤이 된다. 황제풀이를 구송할 때는 새로 봉안된 성주신의 신체를 향해 소반에다 백지를 깔고 벽에 세 되를 소복이 부어놓은 다음 촛불을 켜서 성주상을 다시 차려놓고, 성주신이 인간에게 처음으로 집 짓는 법을 가르쳐주고 성주신으로 좌정하였다는 내력을 고한다.

이하 별상거리에서 뒷전거리는 다른 일반 굿과 동일하게 끝난다. 황해도·강원도·경상도·전라도 등지의 성주맞이 절차도 경기지역과 대동소이한데, 성주대에 잡아맨 백지를 청수나 막걸리에 축여서 구형(球形)이 되게 만들어 성주신의 좌정처에 던지면 반구형(半球形)이 되는 것이 있다.

또 이와 같은 성주대의 백지를 장방형이 되게 접어서 막걸리나 청수에 축여 성주신의 좌정처에 붙이고 쌀을 뿌리는 방법, 성주대의 백지를 길게 접어 그 한 허리를 실타래로 떠서 상기둥의 위쪽에 나무못을 박고 걸어두는 방법, 그리고 성주신체를 오지단지나 동이에 쌀을 넣어 성주신으로 모시는 방법 등, 성주신의 신체(神體)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지방에 따라서는 성주신을 맞을 때, 대주가 성주대를 잡고 춤을 추어 성주신을 놀리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통적인 민가마다 집의 임자로 성주신을 모셔놓고 정초의 안택·고사를 하고 재수를 발원하는 성주굿을 하는데, 진행과정은 각 지역 재수굿의 일반적인 절차와 동일하다.

참고문헌

『한국무속연구(韓國巫俗硏究)』(김태곤, 집문당, 1981)
「성주신앙(城主信仰)」(김태곤, 『후진사회문제논문집』 2, 경희대학교, 1968)
집필자
김태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