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준득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총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총부상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총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69년(공민왕 18) 8월에 총부상서(摠部尙書)였던 성준득은 사신으로 북경(北京)에 가서 명나라의 성절(聖節)을 하례하고 다음 해 5월에 돌아왔다. 이 때 성준득은 명나라 황제로부터 고려왕에게 보내는 관복(冠服)과 악기(樂器), 배신(陪臣)의 관복, 홍무(洪武) 3년 대통력(大統曆), 그리고 육경(六經)·사서(四書)·『통감(通鑑)』·『한서(漢書)』를 받아가지고 왔다. 악기로는 편종(編鍾) 16가(架) 전부, 편경(編磬) 16가 전부, 종가(鍾架)·경가(磬架) 전부, 생(笙)·소(簫)·금(琴)·슬(瑟)·배소(排簫) 하나씩이었다.

충혜왕(忠惠王)의 일녀로 원나라 노왕(魯王)에게 시집갔던 장녕공주(長寧公主)가 원나라가 망하고 명나라가 일어나는 난리 속에서 행방불명이 되었던 것을 성준득이 명태조(明太祖)에게 주청하여 환관(宦官)을 시켜서 찾게 하여 같이 돌아온 것도 이 때인 듯하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