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택 ()

목차
무용
작품
조선 세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양식으로 창작한 정재(呈才) 중의 하나.
목차
정의
조선 세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양식으로 창작한 정재(呈才) 중의 하나.
내용

조선 세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의 양식으로 창작한 정재(呈才) 중의 하나. 주로 중국 사신 위연(慰宴)을 위하여 추던 춤이다. <성택> 정재의 특징은, 선모(仙母)를 중심으로 8명의 협무(狹舞)가 팔괘(八卦)를 상징하여 사방에 늘어서는 것이다.

선모가 감(坎) 방향으로 향하여 건(乾)쪽으로 빙빙 돌며 감·진(震)·이(离)·태(兌)의 사방 네 사람이 마주보며 춤을 추고, 선모가 간(艮) 방향으로 향하여 왼쪽으로 돌면 간(艮)·손(巽)·곤(坤)·건(乾)의 네 귀퉁이 네 사람이 손을 펴 사방(四方)의 네 사람과 더불어 함께 손을 여미며 족도한다.

춤은 당악정재의 특징인 죽간자(竹竿子)의 구호(口號)로 시작하고 구호로 끝난다. 이 춤은 죽간자 2인, 의장대(儀仗隊) 18인, 개(蓋) 3인, 족자(簇子) 1인, 선모 1인, 무원(舞員) 8인으로 구성된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성택의 무의(舞儀)는 ≪세종실록≫의 무의와 그 내용이 같으나 반주음악에서 ≪세종실록≫의 황하청만(黃河淸慢)이 ≪악학궤범≫ 시절에는 헌천수만(獻天壽慢)으로 바뀐 점이 다르다.

이 춤의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천년만세인자 千年萬歲引子>·<최자 嗺子>·<헌천수만>·<중강령 中腔令>·<하성조령 賀聖朝令>이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세종실록≫ 권40과 ≪악학궤범≫이 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