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초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군인 중 사망 · 도망 · 질병자를 조사하여 6월과 12월에 군병 또는 군보(軍保)의 결원을 보충하던 제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군인 중 사망 · 도망 · 질병자를 조사하여 6월과 12월에 군병 또는 군보(軍保)의 결원을 보충하던 제도.
내용

여기에는 기병·보병·충익위(忠翊衛)·충찬위(忠贊衛)의 여정(餘丁)·장인(匠人)·율생(律生)·의생(醫生)·서원(書員)·일수(日守)·악생보(樂生保)·창준(唱準), 사복시·상의원·전설사의 제원, 의녀보(醫女保)·내관보(內官保)·나장·차비(差備)·진부(津夫)·봉군호보(烽軍戶保) 등이 보충되었다.

세초 때에는 일정한 법률에 의거하여 충정하도록 하였으며, 법령을 위반하여 충군하였을 경우에는 제위유위율(制違有衛律)로 수령과 색리(色吏)를 다스렸다. 또한, 수륙의 모든 군사를 일정기간에 전혀 보충하지 아니한 수령은 파직으로 다스렸고, 세초를 그 기한에 마치지 못한 수령은 허물을 들어 문책하여 강등한다는 규정이 있었다.

참고문헌

『수교집록(受敎輯錄)』
『백헌총요(百憲總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