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나영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나영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석인본. 1938년 아들 병관(炳觀)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병관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439수, 서(書) 14편, 기 3편, 설 3편, 권4·5는 부록으로 시 9수, 기 2편, 가장 1편, 행장 2편, 행장발·묘갈명·묘지명·유사 각 1편, 서(書) 3편, 서(序)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박하면서도 미려하며, 내용은 계절이나 자연을 읊은 것이 많다. 「도금강(渡錦江)」과 「도한강(渡漢江)」에서는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건너며 느낀 호연한 기운을 노래하였다. 「춘설(春雪)」에서는 봄에 내린 눈을 인생의 초로에 비유,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였다. 이밖에 계절의 변화에 따른 애환을 노래한 「제석(除夕)」·「추일(秋日)」 등이 있다.

서(書)의 「상송영공(上宋令公)」·「여기송사(與奇松沙)」 등의 글과 「소백기(小栢記)」에는 자신의 학문에 대한 견해와 소신이 피력되어 있다.

설의 「검기설(檢氣說)」은 기(氣)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맹자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인용, 기를 항상 검속해 밖으로 발출되는 것을 막아야 중용의 도를 얻어 일에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말하였다.

「각설(覺說)」에서는 깨달음을 얻으면 마음이 환히 밝아지고, 방종하면 혼미하고 무력해져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악에 물들어버린다고 하였다. 마음을 길러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으로 맹자의 야기(夜氣)를 잘 길러 간단없이 하라는 설과 방심(放心)을 구하는 설을 인용, 설명하였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