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각시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개념
시집을 가지 못한 처녀가 죽어서 된다는 귀신. 손말명 · 왕신.
이칭
이칭
손말명, 왕신
목차
정의
시집을 가지 못한 처녀가 죽어서 된다는 귀신. 손말명 · 왕신.
내용

일명 ‘손말명’ · ‘왕신’ · ‘처녀귀신’이라고도 한다. 혼기에 찬 처녀가 시집을 가지 못하고 죽어 이 되어 악귀로 화하여 주로 자기 또래의 혼기에 차 있는 처녀에게 붙어 괴롭히고 해를 입힌다. 특히 왕신은 집안을 망치기까지 하여 특별히 가신으로 모시기도 한다. 마루 한 귀퉁이 벽에 작은 선반을 매고 그 위에 작은 주1나 나무상자를 주2로 모시거나 또는 문갑 같은 데에 왕신을 모시는데, 새로 집안에 들어오는 물건이 있으면 그 앞에 먼저 바친다. 가족 중에 출가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 먼저 왕신에게 고하지 않으면 큰 화를 입는다고 한다.

남해에 있는 사량도(蛇梁島) 옥녀봉(玉女峰)의 옥녀 주3 이야기는 유명하다. 전설에 의하면, 과년해진 옥녀가 홀로 된 아버지의 성적 요구에 괴로워한 나머지 옥녀봉에 올라가서 떨어져 자살하였다. 그 뒤부터 동네에서 처녀가 시집갈 때 신부가 탄 가마가 옥녀봉 밑을 지날 때에는 가마에서 내려 걸어간다고 한다. 이는 옥녀가 시집도 못 가보고 죽었기 때문에 그 원령이 옥녀봉에 남아서 시집가는 처녀에게 샘을 내어 화를 미친다고 생각해서이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혼기가 된 처녀가 죽게 되면 그 혼령이 손각시가 되는 걸 두려워하여 매장할 때 남자의 옷을 입혀 거꾸로 묻거나, 사람의 내왕이 빈번한 십자로의 교차되는 곳에 은근히 묻어주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간접적으로나마 남성이 그 위를 밟고 지나가게 함으로써 남성과 접촉을 할 수 있고, 못다 푼 한을 달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강원도 지역에서는 미혼으로 죽은 처녀나 총각을 죽은 후에 결혼시키는 허재비굿을 하기도 한다. 처녀에게 손각시가 붙으면 병이 들거나 괴로움을 당하여 시집을 못 간다. 이와 같이 손각시가 괴롭힐 때에는 부모는 다음과 같이 주문을 외우게 된다.

“○○생 아무 성받이 모년 모일 이렇게도 몸이 불편하여 무녀한테 물어 하니 총각 죽은 몽달귀야, 처녀 죽은 손각시야, 못다 먹고 못다 입은 청춘의 원혼귀야, 그저 이 ○씨 ○○생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으면 무쇠구멍에다 넣어서 소금 염떡으로 아가리를 쫙 찢어서 풍두지옥에다 하옥시킬 터이니 오늘 이 주4 차렸으니 많이 처먹고 물러가지 않으면 환두칼로 배지를 삼 갈래로 찢어서 거리에다 걸어놓고 오는 사람 가는 사람 열두 가닥 찢을 테니 그런 줄 알아라.”라고 위협적으로 쫓는다. 이때 제물은 간단한 주5과 냉수뿐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69∼1974)
『한국민속대관 3-민간신앙·종교-』(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부락 및 가족신앙」(김선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도편-』, 문화재관리국, 1977)
「영동지방의 가신설화(家神說話)와 주술가고(呪術歌考)」(김선풍, 『관동어문학』 창간호, 1978)
주석
주1

오짓물을 발라 만든 작은 항아리. 우리말샘

주2

신령을 상징하는 신성한 물체. 우리말샘

주3

원한을 품고 죽은 사람의 혼령. 우리말샘

주4

상 위에 가득히 차린 귀하고 맛있는 음식. 우리말샘

주5

멥쌀로 지은 보통 밥을 찰밥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김선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