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씨이수삼산재본금보 ()

목차
관련 정보
송씨이수삼산재본금보 / 영산회상
송씨이수삼산재본금보 / 영산회상
국악
문헌
편자 · 연대 미상의 옛 거문고 악보. 금보.
이칭
이칭
함양댁금보(咸陽宅琴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편자 · 연대 미상의 옛 거문고 악보. 금보.
내용

사본 1책. 함양댁금보(咸陽宅琴譜)라고도 한다. 원래의 표지명은 금보이지만 송석하(宋錫夏)가 그의 논문 「현존조선악보(現存朝鮮樂譜)」에서 그의 서재명(書齋名)인 송씨이수삼산재본금보라고 가칭하였기 때문에 이 책명이 붙게 되었다.

이 악보와 내용이 비슷한 『금보』는 국립국악원 자료실 소장『금보』와 박기환(朴淇煥) 소장『금보』, 경북대학교 소장 『금보』 등 몇 가지가 있다.

이 금보는 0의 구가(舊家)에서 나왔으며, 그 표지 이면에 ‘주단계장내댁(主丹溪墻內宅)·주강루함양댁(主江樓咸陽宅)’이라고 씌어 있으며, 본문 난외(欄外) 여러 곳에 ‘책주개평댁(冊主介坪宅)’이라고 씌어 있다.

체재는 처음에 『양금신보(梁琴新譜)』전부를 수록하고, 이어서 조성(趙晟)의 만대엽(慢大葉)에 한하여 3·2·3·3·2·3의 육대강(六大綱) 십육정간(十六井間)으로 획(劃)하고, 겸하여 금보·금육보(琴肉譜)·적보(笛譜)·적육보(笛肉譜)·가보(歌譜)를 합보(合譜)한 것이 특색이다.

또 조성보(趙晟譜)의 원보(源譜)인 고조만대엽(古調慢大葉)이 있고, 보허자(步虛子)·영산회상(靈山會相)의 환입(還入)을 명시하였다. 조성보는 이득윤(李得胤)편 『고금금보문견록(古今琴譜聞見錄)』에 있는 조성보와는 상이하다. 국립국악원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음악학자료총서』2(국립국악원, 1980)
『국악논고』(장사훈,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현존조선악보」(송석하, 『전변상웅선생환력기념논문집 동아음악논총』, 산일서방, 194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